문재인 대통령 아내 김정숙 여사가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인근 가토우 공원묘지에 찾아가 세계적 작곡가인 고 윤이상 선생 묘소에 참배했다. 또 윤이상 선생의 고향인 통영의 동백나무를 공군 1호기에 실어 가져와 까다로운 통관을 거쳐 이 곳 묘소 곁에 심었다. 올해는 윤이상 선생의 탄생 100주년이다. 조국 독립과 민주화를 염원했지만 간첩혐의로 끝내 고국방문이 불허되어 독일에서 여생을 보낸 윤이상 선생 뜻을 기리고 안타까운 마음을 전한 것이다.
김 여사는 윤이상 선생에 대해 "저도 음악을 전공해서 윤이상 선생의 음악을 잘 알고 있다"며 "음 파괴가 낯설긴 하지만 작곡했던 선배들은 물론이고 저도 관심이 많았는데, 학창 시절 음악 공부할 때 영감을 많이 주신 분"이라고 회고했다. 김 여사는 경희대 성악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합창단에서 활동한 바 있다.
김 여사는 "윤이상 선생이 생전 일본에서 배를 타고 통영 앞바다까지 오셨는데 정작 고향 땅을 밟지 못했다는 얘기를 듣고 많이 울었다"며 "우리나라를 기념하는 것이 뭐가 있을까 해서 통영에서 동백나무를 가져왔는데 선생의 마음도 풀리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어른 어깨높이의 나무 앞에는 붉은 화강암으로 된 석판에 '대한민국 통영시의 동백나무 2017.7.5. 대통령 문재인 김정숙'이란 금색 글자가 새겨졌다.
김 여사는 "통영의 나무가 잘 자랐으면 좋겠다"며 “꼭 기억하겠다"고 말했다.
김 여사가 헌화한 하얀 원형 모형의 꽃다발에 달린 검은 리본에는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 김정숙, 조국과 통영의 마음을 이곳에 남깁니다"라고 적혀있다.
김 여사는 문 대통령의 독일 순방과정에서 퍼스트레이디로서 별도 일정을 잡아 세심한 '내조외교' 를 펼치고 있다.
김 여사는 G20(주요 20개국)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독일을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재독 동포간담회, 독일의료지원단 접견,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 등에 동행하면서도 이같은 개별 일정을 통해 한독 유대관계를 높이는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편 윤이상 선생은 경남 통영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일본 오사카에서 음악공부를 했으며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옥살이를 했다. 광복 이후에는 통영, 부산, 서울 등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다가 작곡기법과 음악이론을
[베를린 =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