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의 한미정상회담을 놓고 여야의 평가는 엇갈렸다.
여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기대 이상의 성공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백혜련 민주당 대변인은 1일 "6개월 이상의 외교 공백을 단기간에 극복하고 전 세계에 새로운 시대 도래를 선언한 뜻깊은 시간이었다"며 "문재인 정부에서는 더 이상 굴욕 외교가 없음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이어 백 대변인은 "한반도 둘러싼 최대 난제인 대북문제에 대해 우리가 주도권을 갖는다는 것은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의 재정립 차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한국과 미국은 양국의 발전과 한반도 평화를 위해 대등한 관계에서 공동의 번영을 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 대변인은 "이제는 정치권이 응답할 차례"라며 "반대를 위한 반대와 정략과 정치적 이득을 따지는 구태의연한 모습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반면 야당에선 아쉬움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자유한국당 김성원 대변인은 논편을 통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해결 공감대를 확인한 점은 다행"이라면서 "굳건한 한미동맹을 해치지 않으면서 국익을 훼손하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FTA 재협상 필요성을 언급한 것과 관련해 한국당은 "이는 한미FTA가 잘됐다는 반증"이라며 "과거 FTA 비준을 반대했던 민주당은 대국민 사과를 해야한다"고 비판했다. 김 대변인은 "향후 한미 관계에서 문 정부가 헤쳐나가야할 수많은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의당은 이번 정상회담을 "속 빈 강정"고 비판했다. 손금주 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한미정상회담은 총론적으로 한미 신뢰회복과 동맹관계 강화라는 의미가 있다"며 "각론을 들어가보면 경제, 안보 어느 것도 해결한 것도 실리를 취한 것이 없다"고 밝혔다. 손 대변인은 "여전히 숙제들이 많이 남아있어 아쉽다"며 “문 대통령이 앞으로 여야 협치를 통해 한미간 어려운 문제들을 함께 해결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바른정당은 "사드 문제에 대해 자세한 논의가 없었다"며 '절반의 성공'이라고 평했다. 오신환 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이대로 어물 쩍 사드 배치가 기정사실화 돼버린다면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약속한 내용이 장기적으로 퇴색할 수 있다"며 "성명문에 북핵과 미사일 위협에 필요한 핵심 군사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나간다고 했는데 사드를 직접 언급하지 않은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특히 오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환경영향평가를 이유로 사드배치를 번복하지 않겠다고 한 말이 빈말이 아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오 대변인은 "하지만 양국이 채택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