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0일 미국 CBS와의 인터뷰에서 새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와 궤를 같이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인터뷰에서 "대화 자체가 목표가 아니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전제 조건 없는 대화를 말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문정인 통일외교안보 대통령 특별보좌관의 워싱턴 발언 등으로 미국 조야에서 한국 정부가 북한과 '조건없는 대화'에 나서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 것을 불식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이 비핵화를 하기 전 북한과 대화를 한다는 구상은 미국의 정책과 근본적으로 배치된다'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것이 미국의 정책이나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과 배치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양국의 대북 정책에 근본적 차이가 없음을 강조했다.
새 정부의 정책이 트럼프 행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최대의 압박과 관여'(Maxium pressure and engagement) 정책과 다를 바 없다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양국 간 대북 정책 기조의 공통분모를 강조했을 뿐 아니라 최근 미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는 웜비어 군 사망 사건에 대해 북한 책임을 거론하며 미국민에게 강한 유화 제스쳐를 보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웜비어 군 유족에게 조전을 보내 위로한 데 이어 CBS와의 인터뷰에서도 미국인과 유족의 슬픔을 위로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상호 신뢰와 유대감에 바탕을 둔 한·미간 대북 공조를 강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 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대화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국제 사회가 유엔 안보리의 결의에 따라서 해왔던 제재와 압박만으로는 북핵 문
이어 "트럼프 대통령도 한 때는 '김정은과 함께 햄버거를 먹으며 대화할 수 있다', '김정은과 대화를 할 수 있다면 영광스러울 것이다' 라고 말씀하신 바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저보다 훨씬 더 많이 나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