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의 이런 움직임에 청와대가 문정인 특보에 경고도 줬지만, 이와 별도로 미국의 오해 풀기에도 나섰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미국의 의원들을 홀대했다는 보도에 대해 해명에 나선 건데요.
보도가 나온 직후에는 '외교문제라 자세히 말할 수 없다'라고 했다가 나흘 만에 구체적인 자초지종을 밝힌 건데요.
해명이 이례적이라는 평가입니다.
안보람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 5월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딕 더빈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 인터뷰 : 박수현 / 청와대 대변인 (지난달 31일)
- "더빈 총무는 대통령님의 방미에서 양국관계가 발전하는 성과를 거두기를 바란다고…."
아사히신문은 이 만남이 예정보다 하루 늦춰졌던 것이라면서 문재인 정부의 '미 의원 홀대론'에 불을 지폈습니다.
존 매케인 미국 상원 군사위원장은 문 대통령이 만나주지 않아 방한일정을 아예 취소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당시 청와대는 "외교문제라 자세히 말할 수 없다"면서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고만 언급했습니다.
그런데 나흘 만에 달라졌습니다.
일정을 잡은 과정을 낱낱이 공개했습니다.
매케인 위원장은 지난달 27·28일, 맥 손베리 하원 군사위원장은 28·29일, 코리 가드너 상원 아태 소위원장은 28·30일, 더빈 원내총무는 31일 방문을 희망했다는 겁니다.
미국 대사관과 우선순위를 조율한 결과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 사람은 매케인 위원장.
청와대는 "28일 오찬을 하기로 하고 문 대통령이 시간을 비워놨지만, 매케인 위원장이 수요일로 바꿀 수 있느냐고 연락이 왔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다시 일정을 조율하던 중에 한국방문이 어렵다는 연락을 받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청와대는 "홀대라는 건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면서 "결례를 범하지도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대통령과의 약속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꼴이지만, 다른 언급 없이 해명에만 집중했습니다.
▶ 스탠딩 : 안보람 / 기자
-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불필요한 오해를 차단하는데 공을 들이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MBN뉴스 안보람입니다."
영상취재 : 김인성·이재기 기자
영상편집 : 송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