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연봉제 보수체계 개편 가능성이 제시됐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 정부에 도입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와 관련해 "노사 합의에 따라 자율적으로 보수체계를 개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5일 밝혔다.
박근혜 지난 정부는 공공기관 개혁을 위해 성과연봉제 도입을 추진해 왔다. 성과연봉제는 기존 호봉제와 달리 입사 순서가 아닌 능력에 따라 급여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도입 과정에서 노사 간 갈등을 불러오기도 했다.
특히 120개 공공기관은 작년 6월까지 성과연봉제를 도입했지만, 48개 기관에서는 노사 합의를 이루지 못해 송사까지 불거지는 상황이 발생했다.
김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실에 제출한 청문회 답변 자료에서 "성과연봉제 도입 과정에서 발생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며 "노사 합의를 통해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기관과 이사회 의결만으로 도입한 기관에 대해 각각 다른 조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김 후보자는 "노사 합의로 성과연봉제를 도입한 기관은 개선된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성과연봉제 폐지 견해를 밝힌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이주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