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26일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의 위장전입 논란에 대해 "인사가 국민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서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시절 병역 면탈, 부동산 투기, 세금 탈루, 위장 전입, 논문 표절 등의 문제가 있는 사람은 고위 공직자로 임용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주요 고위 공직자 후보자 중 벌써 3명이 위장전입 논란에 휩싸여 청와대는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임 실장은 "국회 청문위원들께도 송구한 마음과 함께 넓은 이해를 구한다"며 "선거 캠페인과 국정운영이라는 현실의 무게가 기계적으로 같을 수 없다는 점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양해를 부탁드린다"고 이 국무총리 후보자의 청문 보고서 채택을 요청했다.
이날 오전까지 청문회를 진행한 뒤 야당은 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며 비판에 나섰다. 김성원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논평에서 "문재인정부 고위공직 후보자들의 위장전입 사실이 줄줄이 밝혀지고 있다"면서 "최근 문재인 정부가 임명하는 인사들의 인사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도 "위장전입 문제를 정리하지 않고 넘어갈 경우 앞으로 장관 후보자들의 위장전입 문제를 봐줘야 하는지, 그러면 공약 이행은 어떻게 되는지 청와대는 입장을 먼저
이언주 국민의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웬만하면 물건을 팔아주고 싶지만, 워낙 물건 하자가 심해서 팔아줄 수 없는 딜레마에 봉착해 있다"며 "이럴 경우에는 물건 파는 분이 해명하셔야 할 것 같다"고 청와대의 해명을 촉구한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김수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