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장 선택한 양정철, 文대통령과의 각별했던 관계 살펴보니…
↑ 양정철 / 사진=연합뉴스 |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히는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이 16일 "제 역할은 딱 여기까지"라며 '무대'에서 내려오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자신의 소임이라고 강조했던 정권교체를 이룬 상황에서 더는 문 대통령이 '비선'·'패권주의' 논란으로 부담을 지지 않도록 '아름다운 퇴장'을 선택한 것입니다.
주변에서는 양 전 비서관이 새 정부의 '실세'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며 그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가 됐지만, 정작 본인은 곧 뉴질랜드로 출국하기로 했습니다.
오랫동안 지켜온 문 대통령 곁을 떠나 멀리서 새 정부를 지켜보기로 한 것입니다.
문 대통령과 양 전 비서관의 인연은 15년 전인 2002년 대선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선대위에서 부산시 선거대책위원장을 이끌었으며, 양 전 비서관은 노 후보의 언론보좌역을 맡았습니다.
이후에도 문 대통령과 양 전 비서관은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함께 일하며 관계를 이어갔습니다.
문 대통령과 양 전 비서관이 지금과 같은 각별한 관계로 발전하기 시작한 것은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이후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9년 문 대통령은 노무현 재단 이사장을 맡았으며, 당시 양 전 비서관은 재단 사무처장으로 문 대통령을 보좌했습니다.
특히 2011년에는 문 대통령의 자서전인 '운명'의 집필을 도왔고, '정치에 뜻이 없다'며 거리를 뒀던 문 대통령이 정계에 나서도록 설득하는 데에도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문 대통령과 양 전 비서관이 함께한 운명 북콘서트는 흥행에 성공하면서 정치권에서 '문재인 대망론'이 본격적으로 번지는 계기가 됐습니다.
하지만 양 전 비서관은 2012년 대선 당시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에서 전해철 의원,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 등과 함께 '3철'이라고 불리며 비선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당시 안 후보를 비롯해 당 안팎에서 인적 쇄신 요구가 거세지자 '3철' 모두 백의종군을 선언했으며, 양 전 비서관 역시 뒤로 물러났습니다.
대선 패배 이후 문 대통령이 2015년 민주당 전당대회에 출마하자, 양 전 비서관 역시 총선 불출마를 결심하고서 물밑 지원을 했습니다.
문 대통령이 대표직을 내려놓은 뒤 총선을 마치고 히말라야 등반을 떠났을 때도 양 전 비서관이 동행했습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 철학을 담은 저서 '대한민국이 묻는다' 출간을 기획하는 등 이번 조기대선 여정의 첫 출발도 함께했습니다.
선대위가 꾸려진 뒤에는 선대위 비서실 부실장을 맡아 활동했습니다.
주위에서는 양 전 비서관이 직책 없이 활동할 경우 '비선' 논란과 맞물려 괜한 오해를 살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공식 직함을 단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대선이 문 대통령의 승리로 끝나자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의지하는 '복심'이자 가장 오랫동안 곁을 지킨 인사 중 하나인 양 전 비서관의 거취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총무비서관 자리에 이미 내정이 됐다는 소문부터, 부처의 차관으로 인선해 청와대와 부처 사이의 소통을 강화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다양한 관측과 설왕설래가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결국 양 전 비서관의 선택은 '퇴장'이었습니다.
어느 자리에 가더라도 정권의 실세라는 세간의 시선에서 벗어날 수 없고, 이는 곧 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입니다.
양 전 비서관은 이날 지인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비선이 아니라 묵묵히 도왔을 뿐이다. 나서면 '패권', 빠지면 '비선' 괴로운 공격이었다"며 "저의 퇴장을 끝으로 패권이니 친문 친노 프레임이니 삼철이니 하는 낡은 언어도 거둬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그는 "곁을 내줘야 새 사람이 오는 세상 이치에 순응하고자 한다"며 "그분이 정권교체를 이뤄주신 것으로 제 꿈
다만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과 양 전 비서관의 각별한 관계를 고려하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문 대통령의 임기 내에 다시 양 전 비서관이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