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주한미군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DD) 핵심장비를 경북 성주군 성주골프장에 전격 배치하면서 대선주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사드가 배치되기 시작하면서 불확실성이 사라졌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앞으로 북한이 반발하면서 미사일 시험 발사 등을 강행할 경우 보수층이 결집할 여지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선주자들은 사드 배치에 대해 원론적인 입장을 밝히면서도 정세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종전 '차기정부 결정론'을 내보이면서 사드 조기 배치를 반대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절차를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면서도 한·미 합의를 중시해 이를 수용하는 입장이다. 지지율 1·2위 후보가 사드 배치를 놓고 뚜렷한 차이를 보인 셈이다.
문 후보는 이날 경기 포천시 승진훈련장에서 '2017 통합화력격멸 훈련'을 참관한 뒤 기자들과 만나 "사드 배치 문제에 관한 제 입장은 변함 없다"며 "곧 대선인데 대선을 앞두고 지금 정부에서 무리하게 강행할 일은 아니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또 "어차피 이 시기에 이르렀으니 마지막 결정은 다음 정부로 넘겨서 다음 정부에서 사드 문제를 다양한 외교적 카드로, 특히 북핵 폐기를 위한 여러 가지 외교적 카드로 활용하도록 넘겨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전격 배치 자체를 반대하면서 14일 후 출범할 새 정부가 사드 배치를 미·중관계의 외교적 수단으로 쓰도록 해야한다는 주장이다.
이에비해 사드 배치를 찬성하고 있는 안 후보는 절차를 지키지 않은 점은 비판하면서도 결과는 수용하는 입장을 보였다. 안 후보는 강원 춘천시 명동거리 입구에서 기자들과 만나 "환경영향평가는 국방부에도 얘기했던 바 있다.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주민과의 충돌도 있었다는데 우려된다"고 말했다. 주한미군과 국방부가 환경영향 평가를 받겠다고 환경부에 통보했는데도 이를 따르지 않고 전격 배치한데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드 전격 배치 자체는 찬성했다. 안 후보는 "사드배치는 한·미 간 합의에 의해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드 배치가 한·미간 합의에 따른 것이므로 배치돼야 한다는 점을 재천명한 것이다.
사드 배치를 적극적으로 찬성했던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는 환영 입장을 내보였다.
유 후보는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선거운동 후 기자들과 만나 "저는 오래 전부터 대통령 선거 전에 배치되는 것이 국론 분열을 막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참 잘된 결정"이라며 환영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또 "문재인 후보는 줄곧 (배치를) 반대하고 오락가락했고, 국민의당과 안철수 후보도 최근까지 반대했다"며 "이제는 정치권에서 더이상 딴소리가 안나오면 좋겠다"고 밝혔다.
홍준표 후보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초청 특별간담회 직후 기자들을 만나 사드 전격 배치에 대해 "잘됐다"라며 "이제 전술핵도 들어오면 우리 안보는 튼튼해지겠다"고 밝혔다.
반면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가장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피력했다. 심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일방적 사드기습배치를 인정할 수 없다. 원천무효다"며 "사드배치가 얼마나 진척되든 간에 차기정부에서 사드는 원점에서 재검토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오늘 사드 기습배치는 우리 국민들의 자결권을 원천봉쇄하고 주권을 짓밟은 폭거"라고 질타했다.
대선주자들은 사드 배치를 놓고 찬반입장을 밝히면서 지지층의 결집을 노리고 있다. 문 후보와 심 후보는 사드 배치 반대를 주장하는 진보진영의 지지 강화를, 안 후보·유 후보·홍 후보는 사드 배치를 찬성하는 보수층의 결집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대선 주자들은 북한의 추가 핵도발이나 중국의 반발에
[김효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