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대통령 선거 후보인 홍준표 경상남도지사가 공직자 사퇴 시한인 9일 밤 늦게 도지사직을 내려놨다. 법률적으로 홍 지사는 선거 30일 전인 이날 밤 12시 전까지 지사직을 사퇴해야 대선 후보로 등록할 수 있었다. 되도록 늦게 사퇴를 한 뒤, 선거관리위원회에 기한이 지나 사퇴 사실을 통지해 '대선 전 30일'이라는 도지사 보궐선거 사유를 무효화한다는 '꼼수' 전략을 구사한 것이다.
홍 지사는 그동안 경남도 확대간부회의와 한국당 대선 후보 토론회, 언론 인터뷰 등에서 지사직 사퇴를 언급하면서도 "도지사 보궐선거는 없다"고 여러차례 공언했다. 전날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당 선거대책위원회 여성본부 필승결의대회에서도 "도지사 사퇴를 내일 밤에 하려고 한다"고 거듭 확인한 바 있다. 이날 홍 지사의 '심야 사퇴'에 대해 민주당 경남도당은 "헌법파괴식 꼼수 사퇴는 선량한 도민을 볼모로 한 안하무인격 작태"라고 비판했다.
꼼수 지사직 사퇴가 홍 지사에게 불리한 여론 조성에 한몫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그는 지난달 31일 한국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음에도 9일간 직접 유세 연설을 못해에 '컨벤션 효과(정치 이벤트로 인한 지지율 상승 현상)'를 누리지 못했다. 최근 지지율이 정체나 하락 추세를 보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의 권리 행사를 홍 지사가 자의적이고 편법적인 수단으로 봉쇄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국민들이 직접 뽑은 인물이 지자체 행정을 이끌어 가야하는데, 대선을 위해 지사직을 던진 인물의 대행체제가 유지된다는 것은 법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논리다.
이같은 비판에 홍 지사는 "보궐선거를 하게 되면 줄사퇴 파동이 일어나 경남도에서 300억원 이상의 돈을 1년짜리 도지사 때문에 내야 한다"며 "내가 애써서 빚을 싹 갚았는데 300억원을 다시 물게 하면 경남에서 지지율이 폭락할 것"이라고 반박한 바 있다.
지사직 사퇴 이후의 홍 지사의 대선 행보에도 쏠리고 있다. 그동안 발언이 조심스러웠지만, 10일부터는 향후 포부를 여과없이 얘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홍 지사는 이날 출입기자단 오찬에서 "TK(대구·경북)은 지지율 70%를 복원했는데, 결집세가 있어 걱정은 별로 안된다"라며 "PK(부산·경남)은 후보 중 세사람이 그 지역 출신이라 박빙의 양상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이어 "선거 전 한달은 결집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짧은 기간이 아니다"라며 "(현재 가파른 상승세인)안 후보 쪽(지지율)은 상당수 내 쪽으로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전날 한국당을 탈당하고 최근 친박단체들이 만든 새누리당에 입당할 것을 밝힌 조원진 의원에 대해선 "바른정당과 합친다고 하니 반발을 한 것 같다"라며 "강성 친박이 나가기에 단촐해진 면이 있지만, 결국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