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을 앞두고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등 3당의 단일 개헌안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정치권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3당이 개헌 스크럼을 짜고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압박하는 가운데 민주당과 정의당이 공동으로 이에 맞서는 양상이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6일 "문재인 후보는 개헌 논의에 대해 의회민주주의와 헌법을 부정하는 발언을 하고 있다"며 "19대 국회 때 문 후보도 개헌을 주장했다가 지금은 다른 발언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개헌을 대선과 연계한다면 소위 친문(친문재인)세력과 반문(반문재인)세력의 대결로 선거구도가 갈 수도 있다"고 자신했다.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단일 개헌안을 3월 국회에서 통과시켜 5월 9일 대선일에 국민투표까지 실시하는 밑그림을 그린 것이다. 정 원내대표는 "이르면 이번 일요일까지 3당 단일안을 만들어서 다음 주에는 각 당의 추인을 받겠다"고 설명했다.
주승용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까지 나서 개헌 찬성 의원들의 내부단속에 나서니 탈당까지 생각하는 의원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문 전 대표를 보니 대새론에 안주하다가 패했던 이회창이 생각난다"고 강조했다.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문 전 대표는) 제왕적 대통령이 되고 싶은가"라고 되묻고는 "역사에 개혁의 반대자로 낙인찍히지 말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3당 움직임에 민주당과 정의당에 강력 반발했다. 특히 민주당을 당내 개헌파 의원들조차 "자유한국당 주도의 개헌 작업엔 동참할 수 없다"고 선을 긋고 나섰다. 이종걸 의원은 "자유한국당이 주체가 되는 개헌작업에는 반대한다"며 "친박 집단들은 대통령 탄핵으로 초래된 정치적 위기 국면을 전환할 목적으로 개헌을 요구하고 있는데, 자유한국당이 끼면 될 개헌도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개헌 내용에 대한 합의가 어려운 만큼 개헌의 시기를 명기하는 부칙조항을 삽입하는 '개헌을 강제한 개헌안'이라도 국민투표에 부쳐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새 헌법은 19대 대통령 임기가 끝나는 2022년에 맞춰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여기에는 2020년에 구성되는 21대 국회 임기를 2022년까지 2년으로 단축하자는 뜻도 내포되어 있다.
심상정 정의당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