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대표적 경제통인 김종인 전 민주당 비대위 대표, 정운찬 전 총리,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이 한국경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이들은 재벌개혁과 비정규직 철폐 등 공정경쟁과 분배 이슈에 초점을 맞춰 한 목소리를 내면서 반(反)문재인 연대 가능성을 탐색했다.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열린 '한국경제의 길을 묻다' 긴급토론회에 참석한 3인의 경제학 박사들은 토론시간의 절반을 할애해 현행 재벌 중심의 경제구조를 혁파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유 의원은 "재벌이 주도하는 성장을 끝내고 창업벤처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성장을 주도해야 한다"며 "재벌이 지배하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혁신과 기업가 정신이 꽃필 수 있는 건강한 시장경제, 즉 평평한 운동장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정 전 총리는 "소비는 가계소득이 줄고 부채가 크게 늘어 단기간 늘리기 어렵지만 투자는 해볼만 하다"며 "중소기업은 돈이 없고 대기업은 투자할 데가 없는데 대기업의 자금이 합법적으로 중기에 흘러들 수 있도록 하면 적어도 경제성장률 1~2% 포인트는 올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재벌개혁은 방법을 모르는 게 아니라 전 정권에서 실천할 의지가 없었던 것"이라며 "너무 야심적(엠비셔스)일지 모르지만 제가 대통령이 된다면 제 임기내에 재벌이라는 단어가 경제에서 없어지도록 하겠다"고 주장했다.
사회자로 나선 김종인 전 대표는 "민주화 헌법이후 선출된 6명의 대통령은 모두 재벌에 의해 농단당한 대통령이었다고 감히 얘기한다"며 "참여정부에서 노 대통령은 '권력이 시장으로 넘어가버려서 할 게 거의 없다'고 했는데 그런 인식을 했다면 정상화하는게 급선무인데 재벌경제와 영합을 하다보니 양극화가 더 벌어졌다"고 비판했다.
이날 경제토론회는 3명의 만남 자체로 정치권의 이목을 끌었다. 개헌과 경제민주화라는 공통분모를 통해 문재인 전 대표와 각을 세우면서 중도보수를 결집하자는 스몰텐트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바른정당 대선후보인 유 의원은 김 전 대표를 '17대 국회때부터 경제 뿐 아니라 정치에서 제게 많은 가르침을 주신 분'이라고 추켜세웠고, 정 전 총리에 대해선 "조순 교수 수업을 듣던 학부생때 기말고사 감독관으로 처음 뵀다"며 인연을 소개했다.
이들은 일자리 문제에 대해서도 비정규직 철폐를 최우선 아젠다로 다루면서 성장보다는 분배에 초점을 맞춰 토론을 진행했다.
[전범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