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들은 23일 국회의장실에서 회동을 가졌지만 특검법 개정안 처리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
정세균 국회의장과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정우택 자유한국당, 주승용 국민의당, 주호영 바른정당 원내대표는 23일 오전 국회의장실에서 40여분 동안 회동했으나 합의는 무산됐다.
이날 회동에서 야3당은 특검 연장을 강력히 요구하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연장을 승인하지 않을 경우, 특검 개정안을 정 의장이 직권상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소속 정 원내대표가 이를 거부했다고 전해졌다.
정 의장은 특검 연장의 필요성에는 동감하나 여야 합의가 있어야만 직권상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일각에서는 대통령 직무정지가 국가 비상사태가 아니냐는 주장 있다. 이 사안이 직권상정 요건에 해당되는 지 명확하지 않다"라며 "직권상정 해달라는 요구가 문자로 많이 와서 전화번호를 바꿀 정도"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우 원내대표 등은 여야 4당 원내대표 명의로 황 권한대행에게 특검법 연장에 동의해달라는 입장을 발표하자고 제안했지만 정 원내대표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동민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회동 직후 기자들과 만나 "황 권한대행은 법 정신에 맞게 연장에 동의해줘야 한다"며 "법을 만들어서라도 특검이 더 수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용호 국민의당 원내대변인 역시 "원래 특검법에 따르면 대통령 권한대행이 3일 전 연장 여부를 결정하도록 됐지만 전례를 보면 일주일 전부터 의사표시를 했다"며 "황 대행이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하지 말고 지금이라도 입장표명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수연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