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혁신을 불러올 정보기술(IT)로 꼽히는 3차원(3D) 프린터가 자동차·항공 등 주요 산업에 대거 도입된다. 또 급속히 발전하는 국내외 해킹 공격에 대응하고자 블록체인과 바이오 인증 등 차세대 보안 기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 투자가 이뤄진다.
정부는 27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제8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미래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한 주요 정보통신정책'을 발표했다.
아직 초기 단계인 3D 프린터 시장의 성장을 위해 자동차·항공 등 주요 산업이 빠르게 3D 프린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추진된다. 3D 프린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초정밀 설계도면을 받아 부품·조각품 등 3차원 입체물을 바로 찍어내는 신개념 프린터다.
정부는 차량의 초경량 실린더 헤드, 항공기의 고효율 엔진 노즐 등의 첨단 부품을 '다품종 소량' 방식으로 빨리 만드는 3D 프린터의 장점을 업계에 알리고 관련 공정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올해 1∼6월 우리 외교·안보 부처 관계자의 이메일이 해킹당하는 등 날로 커지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사이버 보안 연구개발(R&D) 추진 계획'을 마련해 인공지능(AI) 보안 등 첨단 기술의 개발에 투자를 아끼지 않기로 했다. 거래정보를 이용자들 사이에서 분산·저장해 위조·해킹을 극도로 어렵게 만드는 블록체인 보안 기술과 지문·홍채 등을 활용하는 바이오 인증, 사물인터넷(IoT)·자율주행차 등에 특화한 보안 기술에도 공격적 투자가 이뤄진다.
종전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20배가 빠른 2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5G의 빠른 시장 안착을 돕는 정책도 추진된다. 특히 정부는 ▲ VR·AR ▲ AI 비서 ▲ 자율주행차 ▲ 스마트시티 ▲ 재난 대응 및 의료 등 5대 5G 관련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키워 소비자가 빠르게 5G의 가치를 체감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5G는 2019년 상반기에 전용 주파수가 할당되고 이어 2020년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상용화 서비스가 시작된다.
2010년대 들어 쇠락이 본격화한 한국 간판 산업인 조선에 IT를 접목해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계획도 마련됐다. IoT와 빅데이터 등 기술을 도입해 운영 효율을 대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