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대표 사례로 꼽히는 문화창조융합벨트 사업의 전면 개편안을 21일 내놨다. 문체부는 이날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지원 정책 전면 개편’ 자료를 내고 문화창조융합본부를 내년 3월까지 폐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폐지 전까지는 감사 등을 거쳐 조직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폐지 뒤에는 콘텐츠 신산업을 육성하는 사업의 관리 주체를 문체부로 일원화하기로 했다. 문화창조융합본부는 ‘비선 실세’ 최순실 씨의 측근인 차은택 씨가 첫 본부장을 맡았던 조직으로 융합벨트 사업의 기획·자문을 맡아 사실상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왔다.
융합벨트의 주요 거점 중 하나인 ‘문화창조벤처단지’는 융합벨트 출범 이전부터 운영해온 콘텐츠기업 창업 지원 사업인 ‘콘텐츠코리아 랩’ 사업으로 통합해 ‘콘텐츠코리아 랩 기업지원센터’로 재탄생한다. 이어 2018년 초까지 ‘콘텐츠코리아 랩’을 ‘(구)벤처단지’ 사업과 완전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종합 콘텐츠기업 육성 거점인 ‘콘텐츠 팩토리’(가칭)를 마련할 예정이다. 현재 문화창조벤처단지에 입주한 42개 기업은 계약기간을 감안해 내년 말까지는 현행 지원을 유지하면서 사업을 내실화할 계획이다.
융합벨트의 인력 육성 거점인 ‘문화창조아카데미’는 융합벨트 출범 이전부터 운영해온 인력양성 사업인 ‘창의인재양성’ 사업으로 통합하고 ‘콘텐츠인재캠퍼스’(가칭)로 개편한다. 개편된 ‘콘텐츠인재캠퍼스’는 서울 홍릉 산업연구원 건물에 조성 중인 교육 시설로 내년 3월까지 이전한다.
융합벨트 거점 중 민간 주도로 진행하고 있는 ‘문화창조융합센터’와 ‘K-컬처밸리’, ‘K-익스피리언스’ 사업은 해당 기업들에 맡겨 자율적으로 추진하게 할 방침이다.
문체부는 또 융합벨트 사업 운영에 관여하며 각종 의혹과 논란에 휘말린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공정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발표했다. 향후 콘텐츠진흥원의 원장을 선임할 때는 관련 법령의 범위 내에서 가급적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전문성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