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5만명 언저리에 있는 ‘미니’ 지방자치단체들이 인구 지키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구 5만명’은 정책과 재정 규모를 결정짓는 중요 지표이기 때문이다. 인구가 줄어들면 정부 지원금도 줄어든다.
따라서 산모와 귀농인 등 전입자에 대한 물량공세는 물론 전입 공무원 인사우대까지 갖가지 묘책이 동원되고 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1월 말 기준 충북 영동군의 인구는 5만553명으로 전달(5만199명)보다 354명이나 늘었다.
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291명이 줄었다.
이에 영동군은 공무원과 마을 이장을 대상으로 ‘공무원 1인 1명 전입’·‘1마을 5명 전입’ 운동을 펴고 있다.
또 지역 내 대학교 재학생에게 주는 전입지원금을 확대하고, 중·고교 학생에게 통학교통비를 지원하는 내용의 조례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인구 5만1000명대를 유지하고 있는 경북 울진군(현재 5만1737명)은 2011년부터 모든 출생아의 건강보험금을 지원하는 등 출산장려책을 확대 시행하고 있다.
둘째아와 셋째아는 월 10만원씩 5년간 600만원, 넷째아 이상은 월 20만원씩 5년간 1200만원의 출산장려금도 지원한다.
귀농인에게는 최대 800만원의 영농정착 지원금과 주택수리비를 준다.
인구 5만2708명의 전남 완도군도 올 초 셋째 이상 다자녀 가정의 자녀에 대한 출산장려 양육비를 대폭 늘렸다.
종전까지 셋째에게 지급한 출산장려 양육비를 1000만원에서 1300만원으로, 넷째는 11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다섯째는 12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올렸다. 또 셋째 이상에게는 돌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인구 증가는 좀처럼 힘들다. 농촌 지역의 경우 인구 유입 노력이 무색할 정도로 전출과 사망 등으로 인한 자연 감소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일자리를 구하기 어렵고 고용 불안에 육아 문제, 주택난까지 겹치면서 결혼 기피 현상이 만연한 요즘 사회 분위기도 영향이 크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