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출처 = 연합뉴스] |
윤관석 더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황 권한대행의 개별회동 역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초유의 대통령 탄핵에 따른 국정 권한대행 체제에서 국회-정부 정책협의체의 구성 등 제반 논의를 각 당 따로 면담하듯 만날 사안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 대변인은 이어 “야 3당 대표가 황 권한대행에게 만나자고 제안한 것은 대통령 탄핵 사태로 발생한 과도 국정에서 협치를 위한 국회와 정부 간의 정책협의체 구성 등 당면한 경제·민생 등의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통령 탄핵 상황에서도 황교안 권한대행이 국정의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개별적인 회동을 하겠다고 역제안한 것이라면 과도하다”고 덧붙였다.
또 “새누리당의 지도부 공백 상태를 핑계 삼아서는 안 된다”면서 “분당사태까지 언급되고 있는 새누리당의 정비과정이 언제 끝날지도 모른다. AI 사태, 미국 금리 인상 등 우리 경제와 민생 현안이 만만치 않다. 아주 시급하고 비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박지원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여야정 협의체로 만나는 게 바람직하지만 새누리당의 친박(친박근혜) 대표 때문에 안 될 경우 황 권한대행이 각 당과 협의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박 원내대표는 황 권한대행이 제안한 정당별 대표와의 회동에 대해서 “어디까지나 여야정 협의체가 구성되기 전까지 임시로 운영되는 것”
앞서 황 권한대행 측은 여·야·정 협의체와 관련해 “현재의 정치적 상황으로 여야정이 함께 만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면, 조속히 만날 수 있는 정당별로 회동해 의견을 나누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정당별 대표와의 회동을 제안한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배동미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