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정치권이 극도의 긴장에 휩싸였다.
탄핵안의 가결 여부가 미지수인 상황에서 여야 각 정파는 이해 관계에 따라 각각 찬성표와 반대표 단속에 전력을 투구했다. 특히 야권은 의원직 총사퇴 결의로 배수진을 치고 국회 촛불집회와 철야농성 등으로 탄핵안 가결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진력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탄핵안 부결 시 소속 의원 121명 전원이 총사퇴하겠다는 당론을 채택했다. 또 탄핵안에 담긴 ‘세월호 7시간’ 대목을 제외해달라는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의 요구도 단칼에 거절하는 등 강공을 펼치고 있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국회의원직을 걸고 결의를 다지는 차원으로, 오늘 전원이 사퇴서를 쓰는 게 마땅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역시 의총에서 탄핵안 부결 시 의원 38명 전원 사퇴를 당론으로 채택하고 사퇴서에 서명했다.
탄핵안 가부(可否)의 캐스팅 보트를 쥔 새누리당 비주류는 막판 찬성표가 이탈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 주력했다.
비주류 회의체인 비상시국위원회는 이날 비상시국회의를 열어 ‘세월호 7시간’ 대목은 제외돼야 한다는 요구를 야당이 수용하지 않더라도 탄핵안 표결에 동참해 찬성표를 던진다는 방침을 원칙적으로 재확인했다.
박 대통령 탄핵 저지에 나선 친박 주류는 반대표 결집을 위한 물밑 설득 작업에
특히 당 지도부와 중진 의원들이 주도적으로 나서 흔들리는 중립 성향 또는 초선의원들을 상대로 직접 전화를 걸어 반대표 행사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탄핵 표결 하루 전 긴장감이 흐르는 분위기 속에서 침묵을 지키고 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