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벌총수 청문회, 의혹의 핵심은?…미르·K스포츠재단와 대가성
![]() |
↑ 재벌총수 청문회/사진=연합뉴스 |
국회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가 6일 개최한 1차 청문회에서 여야 의원들은 미르·K스포츠재단 기부 등을 대가로 이뤄진 재벌 기업들의 '검은 뒷거래'를 캐내는 데 주력했습니다.
최순실 씨 일가에 대한 지원이 삼성그룹과 한화그룹의 주력사업 '빅딜'로 이어졌다는 의혹 제기를 비롯해 SK그룹과 롯데그룹 등의 재단 기부가 대가성 짙은 사실상의 '뇌물'이었다는 주장이 이어졌습니다.
새누리당 장제원 의원은 "2014년 11월에 삼성과 한화가 빅딜하게 된다. 삼성테크윈·탈레스·토탈을 한화에 2조 원에 매각하고, 한화는 방산·화학의 독보적 기업으로 성장했다"며 "(최 씨의 딸) 정유라에게 한화는 8억 원, 삼성은 10억 원의 말을 상납하면서 이런 빅딜을 성공하는 부도덕한 짓을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2014년 4월 '승마협회의 정유라 특혜 의혹'이 제기된 뒤 한화가 대한승마협회 회장 자리를 내놨지만, 다시 한화가 이 자리를 가져가고 나서 같은 해 11월 삼성과의 빅딜이 성사된 과정이 의문스럽다는 것입니다.
장 의원은 "꼭 이렇게 기업 합병하고 빅딜하는 과정에서 비선 실세의 '망나니 딸'에게 말까지 사줘야 되느냐. 정상적으로는 안 되느냐"고 따졌습니다.
장 의원의 문제 제기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삼성·한화의 '빅딜 계약서'를 청문회 자료로 제출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을 향해 "세계적 그룹이 KD코퍼레이션과 플레이그라운드에 돈을 뜯겼다"며 "창피하지 않느냐"고 질책하는가 하면, 최태원 SK 회장에 대해선 "서울구치소가 증인으로서는 멀리 있는 곳이 아니다"며 최 회장의 과거 복역 사실을 상기시키기도 했습니다.
최 회장과 신동빈 롯데 회장, 손경식 CJ 회장 등은 수사·사면 관련 청탁이나 면세점 허가 등을 대가로 미르·K스포츠재단에 거액을 기부한 게 아니냐는 추궁도 받았습니다.
새누리당 최교일 의원은 "롯데에서 그 금액(70억 원)을 제공한 이유는 면세점과 당시 '형제의 난' 수사 관련해서 추가로 제공하는 거라 얘기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질문했습니다.
신동빈 회장은 "전혀 관계없다고 생각한다"고 부인했습니다.
최 의원은 최태원 회장을 향해 "'회장님 사면 때문에 재단에 출연한 것이다, 그래서 그게 뇌물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최 회장 역시 "대가성 이런 생각을 가지고 출연은 없었다"고 답변했습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은 "K스포츠재단에 롯데로부터 70억 원이 들어온 날이 검찰의 압수수색 전날"이라며 "압수수색 정보를 미리 얻은 게 아니냐"고 물었습니다.
신 회장은 "(롯데에 대한) 압수수색은 꿈에도 생각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같은 당 이만희 의원은 "(K스포츠재단에 대한) 추가적 지원 제안이 SK가 작년 11월에 탈락한 워커힐 면세점 신규특허 발급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생각을 안 해봤느냐"고 물었습니다.
최
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최 회장에게 "이 일을 계기로 '정경 유착'의 고리를 끊겠다고 약속하겠느냐"고 물었습니다.
최 회장은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다 하도록 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