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청와대의 의약품 구매 비용이 이전 정부보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상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 후반기인 2011∼2012년 청와대의 의약품 월평균 구매액은 187만원(총액 4481만원)이었다.
이는 박 대통령 취임 이후인 2013년부터 2016년 8월까지 3년 6개월간 청와대의 월평균 의약품 구매액 395만원(총액 1억7370만원)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또 비아그라, 태반주사 등 논란이 된 의약품이 주로 구매된 서창석 전 주치의 시절(2014년 9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8개월간) 월평균 구입액 571만원과 비교하면 33%에 불과하다.
제약사 등이 청와대에 공급한 의약품 구매 내역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5년간만 보관하고 있어 2011년 이전 정보는 확인할 수 없는 상태다.
해당 정보에 따르면 이명박 정부도 유사 프로포폴로 불리는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를 2011년 10월과 2012년 10월에 10개씩 사들였다.
청와대는 앞서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는 신속 기관 삽관을 위한 응급 약품으로 의무실장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필수 약품”이라고 해명했다.
이명박 정부가
하지만 불안장애 치료제 ‘자낙스’나 수면장애 치료제 ‘서카딘’,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등은 이명박 정부의 청와대 약품 구매 목록에 없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