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홍원 전 국무총리는 17일 개인 입장발표문을 통해 진실 규명이 되기 전 박근혜 대통령에게 책임을 지라는 것은 일시적 분풀이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는 “지금은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고 진실 규명 작업이 한창인데 실체와 증거보다는 추측과 확인되지 않은 의혹들에 힘이 실리고 있다”며 “진실 규명도 되기 전에 대통령에게 무한 책임을 지라는 요구와 주장, 그 또한 법 앞에 평등이 아니다. 일시적 분풀이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정 전 총리는 “2년 동안 총리로 재직하며 회의나 면담 등의 기회에 대통령을 많이 만났고 많은 대화를 나눴다”며 “대통령이 오랫동안 공부를 많이 해 너무 많이 알고 있다는 느낌을 자주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이 너무 많이 알면 국정이 경직되기 쉽다는 걱정을 하기도 했다”며 “외부의 조력이 없이는 판단도 제대로 못 하는 대통령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있는 일부의 주장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정 전 총리는 최순실이 국정에 개입해 사익을 도모했다는 정황에 대해서는 “최순실이 저지른 불법과 위법 행위에 대해 대통령이 개입한 사실이 있다면 책임은 피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와 특검 조사가 예정돼 있다. 진실은 가려질 수 없다”며 “진실이 규명된 후 상응한 책임을 물으면 된다. 그러나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법적, 정치적, 도의적 책임을 일방적으로 추궁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현직 대통령이 검찰 수사를 받아야 할 상황이고 하야와 탄핵이라는 말들이 쏟아지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4년 차에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다”며 “박근혜 정부의 초대 총리를 지낸 제가 갖는 참담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전 총리는 “대한민국의 위상에 걸맞은 국민적 성숙함을 보여야 할 때”라며 “검찰 수사 결과 발표를 지켜보는 인내심이 필
그러면서 “이런 국면에서 입을 연다는 게 많은 사람들로부터 비난의 몰매를 맞을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때 침묵하는 건 오히려 비겁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냉정을 되찾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해주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서정윤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