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한목소리로 '대통령 퇴진'을 외치고 있지만, 구체적인 퇴진 방법과 참여 주체에 대해서는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정국 해법을 두고 야권이 주도권 경쟁을 벌이는 모습입니다.
원중희 기자입니다.
【 기자 】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어제(15일) 대통령 퇴진을 이끌어내기 위한 '비상시국기구'를 제안했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어제)
- "모든 야당과 시민사회, 지역까지 함께 하는 비상기구를 통해 머리를 맞대고…."
정의당은 이에 동조했지만, 국민의당은 시민단체 포함 여부를 문제삼았습니다.
▶ 인터뷰 : 박지원 / 국민의당 비상대책위원장
- "기구 구성의 필요성은 느끼지 않습니다. 국민들은 정치권이 시민사회단체를 이용하려는 것에 대해서 곱지 않은 시선을 가지고 있고…."
또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대통령의 퇴진과 총리 선출로 이어지는 '3단계 수습 방안'을 제시하며, 여당과도 함께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안철수 / 전 국민의당 대표
- "상황을 수습해야 하는 것이 정치인들의 역할이자 의무입니다. 따라서 저는 여야 책임있는 정치인이 모여서 합의를 이루자…."
하지만, 문재인 전 대표는 새누리당은 책임을 인정하고 반성하지 않는 한 함께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야3당 대표는 엇갈린 의견을 조율하기 위해 시민사회 원로인 함세웅 신부와 오찬을 가지려 했지만, 민주당 추미애 대표의 거절로 무산됐습니다.
MBN뉴스 원중희입니다. [june12@mbn.co.kr]
영상취재 : 김석호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