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회의서 "'최순실 예산', 평창동계올림픽 예산으로 돌리자"…조윤선 장관은 불참
![]() |
↑ 사진=MBN |
국회 평창동계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지원 특별위원회의 10일 전체회의에서 여야는 최순실 일가의 이권개입 의혹에도 불구하고 평창동계올림픽이 제대로 치러질 수 있도록 필요한 예산을 지원해야 한다고 한 목소리를 냈습니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가 삭감하기로 한 이른바 '최순실 예산'을 올림픽 지원으로 돌려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새누리당 권성동 의원은 "최순실과 차은택이 서로 짜고 문화·스포츠예산을 말아먹으려 했다"며 "그런 예산을 다 찾아서 삭감하고 평창동계올림픽 예산으로 돌려 올림픽을 제대로 치러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의원도 "평창동계올림픽에 쓸 정부 예산이 부족하다는데 최순실 게이트 의혹에 연루돼 있다고 인식하고 자체적으로 감액한 예산을 평창동계올림픽 준비에 쓸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주문했습니다.
국민의당 김관영 의원은 "최순실 게이트가 평창동계올림픽을 강탈하고 있지만, 올림픽 개최에 차질이 빚어져서는 안 된다"며 "최순실이 연루됐다는 사업은 솔직하게 진상을 규명해보고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에 대해 문체부 김재원 체육정책실장은 "지금 방침을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삭감당한 부분을 불요불급 예산으로 돌리는 게 가능하다면 적극적으로 수용할 생각"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앞서 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최순실씨 조카인 장시호씨가 이런 저런 이권사업에 개입했다는 것이 분노를 일으킬만한 사건이지만, 최씨 때문에 올림픽을 망칠 수는 없다"며 "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예산과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최순실 예산'을 삭감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쏟아졌습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예산소위 소속 새누리당 이은재 의원은 "미디어파사드, 케이 컬처(K-Culture)는 '최순실 예산'인데 아직도 남아있다"며 "대체할 수 있는 예산 계획을 빨리 세워서 올려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민주당 이찬열 의원이 분석한 정부주도 지원예산 290억원 가운데 '최순실 예산'은 97억원입니다. 같은 당 민홍철 의원은 그보다 많은 107억원이 '최순실 예산'으로 분류된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민 의원은 "최순실의 그림자는 철저히 지우되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을 위해 해야 할 사업은 해야 한다"며 '최순실 예산'으로 분류된 사업을 모두 백지화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문체부 김 실장은 "출발계획에서 사인이 지나치게 개입한 부분은 정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도 "사업주체나 용역사업 수행자의 공정한 선정을 전제로 한다면 살릴 수 있는 사업은 살려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최씨의 청탁을 들어주지 않아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의혹도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민주당 박완주 의원은 "어떻게 일개 민간인 강남 아줌마 한마디에 조직위원장이 왔다 갔다 하느냐"고 따졌고, 국민의당 이동섭 의원은 "예산 새는 것을 막겠다는 조 전 위원장을 장·차관이 해고했다면 국가 돈을 도둑질한 최순실 일당과 공모한 셈"이라고 힐난했습니다.
여형구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조직위원회 사무총장은 "최근 평창올림픽과 관련해서 의혹을 제기하는 많은 언론보도가 있었는데 자체 점검결과 어떠한 외부압력이나 청탁에 의한 불미스러운 일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습니다.
이날 전체회의는 재정현황 점검차 문체부의 현안보고를 받으려 했지만, 최순실 국정개입 파문으로 장·차관도 없는 '반쪽' 회의에 그쳤습니다.
조윤선 문체부 장관은 11일로 예정된 국회 긴급현안질의 등을 준비하느라 불참한다는 뜻을 전해왔으며, 김종 전 문체부 제2차관은 지난달 30일 최씨와의 의혹에 휘말려 사표를 제출했습니다.
무소속 이찬열 의원은 "조 장관은 뭐가 무서워서 못 나온 거냐 어디가 아파서 못
민주당 민병두 의원은 "이 상태로 가면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최하는 동계올림픽에 대통령이 없을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럴 때일수록 조 장관과 같이 책임 있는 사람이 나와서 발언해야 하는 거 아니냐"고 지적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