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씨와 딸 정유라 씨가 다녔던 피부 시술 업체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청와대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JTBC는 지난 8일 “금실을 넣어 주름을 펴는 피부과 시술 등으로 유명한 강남의 한 성형외과에 최씨와 정씨가 고객 명부에 있었고 이 업체의 해외진출을 위해 청와대 경제수석까지 동원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병원의 고객 명단에는 ‘정유연’이라는 이름이 적혀 있었고 바로 다음 시간대 환자인 ‘최’는 최순실씨로 추측된다고 방송은 보도했다.
기업들의 해외진출을 돕는 컨설팅 업체 대표는 전화인터뷰에서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2014년 2월께 피부 리프팅을 하는 성형업체의 해외진출을 검토해줬으면 좋겠다고 연락해왔다”며 “이후 조 전 수석 지인을 통해 이 요청이 VIP(대통령) 뜻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해당 병원은 준비가 미흡해 해외진출이 이뤄지지 않았고 조 전 수석은 해외진출 무산 3개월 뒤 교체됐다고 JTBC는 전했다. 최씨 모녀가 단골로 드나든 의원의 해외진출이 무산된 책임을 지고 청와대 경제수석 자리를 내놓았다는 분석이다.
A씨는 “실제로 병원을 가 보니 너무 작은 규모였고 영문 안내서나 영어 능통자도 없어 도저히 해외진출 자체 기반이 없다고 판단됐다.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해외진출은 무산됐다”고 밝혔다.
JTBC는 이같은 해외진출 무산이 A씨의 인사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A씨는 “해외진출 무산 후 청와대 핵심 수석 몇 분이 저를 ‘VIP의 지원 사업을 방해하는 나쁜 사람’이라고 지목했다고 하더라. 국정원이 저를 사찰한다는 소리도 들었다. 그러더니 바로 수주간 세무조사가 시작됐다. 저 뿐 아니라 부친과 조부까지 3대에 걸쳐 세무조사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강남의 수많은 성형외과가 있는데 왜 그 작은 성형외과를 돕기 위해 청와대 고위직 인사들이 발벗고 나서는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았다”며 “세무조사가 끝나자 높은 분이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 성형외과 원장 김 모씨의 특혜 의혹도 제기됐다.
JTBC에 따르면 박 대통령 주치의였던 서창석 교수가 서울대 병원장으로 부임한 뒤인 지난 7월 김 원장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외래 교수로 임명됐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는 대학병원과 달리 건강검진을 주 업무로 하는 곳이라 성형외과가 개설도 되지 않았지만 김 원장은 외과 외래교수로 위촉됐다.
이와 더불어 김 원장의 처남이 운영하는 의료기기업체
보도에 따르면 이 성형외과는 화장품업체와 의료기기 사업을 겸하고 있는데 올해 대통령의 아프리카, 프랑스 순방 등에도 동행했다. 병원이 만든 화장품 세트는 청와대 선물세트로도 사용됐다.
[디지털뉴스국 이명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