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인식 KOICA 이사장 <김재훈 기자> |
정부 ODA 전담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김인식 이사장(67)은 18일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은 구상을 밝혔다.
김 이사장은 1991년 창설 이후 외교관 출신 인사들의 전유물이었던 KOICA 이사장에 지난 5월 민간 경력자로는 처음 발탁됐다. 그는 “ODA가 단순히 지원으로만 끝나서는 안된다”며 “ODA가 개도국 성장을 도모하면서 더불어 한국과의 경제·공공·문화 외교의 문을 열수 있는 방편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는 이념보다는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외교관계가 맺어지는 시대”라며 “ODA가 국익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늘어나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30년 간 일하며 세계를 누볐던 김 이사장은 개도국과 상생할 수 있는 한국형 ODA모델을 정립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김 이사장은 “KOICA가 원조사업을 진행하며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과 연계하고 청년들의 취업·창업 기회를 확대하는 기회로 삼을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업뿐만 아니라 은행권도 (ODA 연계사업의) 좋은 참여자가 될 수 있다”며 “좋은 프로젝트가 있다면 우선 ODA로 물꼬를 튼 뒤 기업이 이를 이어받고 금융권에서 클라우드 펀딩(대중을 통한 자금조달)으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젊은이들의 취업과 사회적 기업 등의 창업 기회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김 이사장은 기존 KOICA 사무소가 없는 지역 중 한국의 도움이 절실한 곳으로 활동범위를 넓히는 작업도 지속할 방침이다. 그는 정부가 국교 수립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쿠바에 대한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대사관도, KOICA 사무소도 없는 곳 가운데에도 한국의 도움을 원하는 지역이 많다”며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됐던 라이베리아·시에라리온과 대지진으로 인한 고통이 지속되고 있는 아이티 등을 후보지로 거론했다.
한국형 ODA의 행동반경을 넓히기 위해서는 해외 현장사무소 인력 확충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현재 전세계 44개 KOICA 사무소와 3개 파견 지역에 나가있는 우리 인원이 채 90명이 안된다”고 아쉬워했다. 해외 현장 한 곳 당 파견한 KOICA 직원이 채 2명도 안되는 셈이다. 김 이사장은 “ODA 사업 수요가 늘어나고 세계적으로 테러 위협이 가중되고 있어 안전관리를 위해서라도 해외사무소 직원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고령화시대 인생 2모작을 위한 기회로 주목받고 있는 KOICA의 시니어봉사단원 선발과 관련한 ‘꿀팁’도 알려줬다. 시니어봉사단원은 10년 이상의 근무경력과 전문성을 갖춘 만 50세 이상 62세 이하의 경력자들이 지원할 수 있어 은퇴를 앞둔 직장인들의 관심이 높다.
그는 “시니어봉사단원에 관심이 있다면 퇴직 전 관심있는 나라를 여행하거나 기본적인 어학능력 등을 갖춰놓으면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본인이 해외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전문분야를 미리 준비해 자격증을 갖춰놓는 등 현직에 있을때부터 준비해야 한다는 것.
김 이사장은 “현재 퇴직자는 물론 현직에 있는 산업 전문가를 개도국에 파견하는 제도도 준비중”이라며 “임금피크제 시기에 진입한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면서 소속기관의 역량도 대외적으로 알리는 한편 젊은 봉사단원들과 ‘멘토-멘티’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면 여러 모로 좋은 효과를 낼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김 이사장은 “어려운 시기 (외국의) 원조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우리도 없었다”며 ODA에 대한 일
[김성훈 기자 / 사진 = 김재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