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일 주 의원은 “친박계와 비박계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데, 어느 쪽이 돼도 새누리당에 도움이 안되는 방향”이라면서 “계파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제가 이번 전당대회를 통해 당 화합의 최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조정, 중재, 통합의 리더십으로 위기에 빠진 당을 이끌겠다”며 출마 의사를 시사하며 조만간 공식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친박계 맏형 격인 서 의원의 출마가 임박하면서 비박계가 정병국·김용태 의원을 비롯해 주 의원 등 다양한 후보들을 끌어들여 ‘물량 공세’를 펼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조직력이 친박계보다 상대적으로 열세인 비박계가 서 의원이라는 큰 산을 넘기 위해서는 군소 후보들의 뜨거운 경쟁을 통해 새정치를 갈망하는 국민여론을 환기시키는 여론전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중진의원은 “지난 2014년 전당대회 당시 김무성 전 대표가 서 의원에 비해 여론조사 비율이 잘나와 조직력 열세를 극복했지만 아직은 그럴만한 비박계 인물이 없다”면서 “최근 친박계가 상당수의 당협위원장을 차지하고 있는 점도 비박계에 불리한 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마를 두고 장고 중인 서 의원은 이날도 주위에 의견을 구하며 막바지 고심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이 17일 총선참패에 대한 반성을 담은 백서를 발표할 예정이어서 총선 당시 최고위원으로 패배에 책임이 있는 서 의원이 거취 발표를 더 늦출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날 비박계 대표주자인 정병국 의원은 경쟁후보인 이정현 의원과 만나 공동 선거운동을 제안하기도 했다. 정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이 취약한 부분에 대해 함께 접근해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보자는 취지로 제안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전당대회 구조도 그 중에 하나라고 강조했다.
그는 “기탁금만 하더라도 1억원이고 기본적인 홍보물 제작하고 사무실 빌리면 수억원이 들어가는데 이러한 선거운동 자체가 개혁 대상이 되지 않겠냐”면서 “말로만 개혁하면서 과거와 똑같은 방식으로 밥 같이 먹고 세몰이하는 것은 (개혁이) 아니다”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 제5차 전국위원회를 열어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고 전당대회에 예비심사(컷오프)를 도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 당헌 개정안을 의결했다.
개정된 당헌에 따라 새누리당은 다음달 9일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선출한다. 당직자 인사에 관한 임면권 및 추천권을 당 대표에게 부여하고 당직자 임명과정에서 요구하던 최고위원회의의 의결은 협의로 대체해 당 대표 권한을 강화했다. 단 공천관리위원회, 윤리위원회, 국민공천배심원단
선출직 최고위원은 4명(여성 포함)이며 청년최고위원(45세 이하) 1명을 별도로 선출한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청년최고위원 선출시 예비심사(컷오프)를 도입해 선출자의 대표성을 높이고 후보 난립을 방지하기로 했다.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