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지역위원장 인선 일정 연기…치열한 물밑 힘싸움
![]() |
↑ 더민주 지역위원장/사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차기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50여일 앞두고 지역위원장 인선 일정이 연기되는 등 막판 진통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지역위원장 구성에 따른 당내 역학구도는 차기 당권 경쟁구도는 물론 내년 대선 경선에서도 결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한 사안인 만큼, 물갈이 폭이나 심사기준의 공정성을 둘러싼 물밑 힘싸움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모습입니다.
아울러 탈당한 이해찬 전 총리의 지역구인 세종시나 총선에서 참패한 '텃밭' 광주의 지역위원장 인선은 언제든 계파갈등의 촉발시킬 수 있다는 점도 논의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더민주 조직강화특별위(위원장 정장선)는 6일 오전 250여곳 지역에 대한 심사결과를 비대위에 보고했습니다. 당초 이날 명단이 발표될 예정이었습니다.
비대위에서 의결을 거치면 경선지역으로 분류된 일부 지역이나 사고지구당으로 지정된 곳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지역에서 위원장이 결정됩니다.
그러나 이날 비대위는 조강특위의 안을 의결하는 대신 '재검토' 결정을 내렸습니다.
특히 회의에서는 일부 비대위원들이 물갈이 폭이 너무 큰 것 아니냐는 문제제기를 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총선 이후에는 조직정비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몇몇 비대위원들이 제기했다. 공모방식으로 하다 보니 교체 폭이 커졌다는 지적도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총선이 끝나자마자 당을 헤집어놓듯 지역위원장을 대거 교체하면 안된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조강특위가 심사 초기부터 '대폭 물갈이'를 표방해온 것과는 반대 입장입니다.
일각에서는 물갈이 폭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각 진영간 유불리가 확연하게 갈린다는 점이 이런 의견대립에 영향을 준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옵니다.
조강특위의 심사 기준이 일관되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조강특위는 앞서 ▲ 총선에서 개인 득표율과 정당 득표율이 차이가 많이 난 후보 ▲ 총선에서 여러번 낙선한 후보 ▲ 총선에서 2위가 아닌 3위로 낙선한 후보에 대해서는 정밀심사를 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사실상 여기에 해당하는 후보들을 걸러내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그럼에도 이날 비대위에서는 "몇몇 지역에서는 조강특위가 제시한 기준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결국 비대위는 "심사결과를 재검토하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
지역위원장 인선이 늦어지면서 각 지역에서도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야권의 심장부 광주에서는 조강특위 논의 결과가 지역 정가에 간접적으로 알려지면서 뒷말이 무성한 상황입니다.
한 지역에서는 총선 당시 후보로 나선 지역위원장 대신 전직 국회의원이 지역위원장으로 낙점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를 두고 "총선 참패 책임을 감안, 후보들은 뒤로 물러나야 한다"는 의견과 "총선 때는 무명의 신인들을 영입해 공천하더니, 이제와 물갈이를 하겠다며 전직 의원을 데려와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맞서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가족 채용' 논란을 일으킨 서영교 의원의 지역구는 사고지구당으로 비워두기로 가닥을 잡은 가운데, 이 전 총리의 지역구인 세종시 역시 사고지구당으로 해야 하는지를 두고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애초 지도부
그러나 당내 최대계파인 친노(친노무현) 진영의 반발이 예상되는데다, 문 변호사가 총선에서 3위로 낙선해 '정밀심사' 대상에 포함되는 상황에서 무리하게 임명하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