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총장 교체 카드로 당내 계파갈등을 봉합한 새누리당이 28일 ‘국회의원 세비 삭감’을 주장하며 정치개혁 주도권을 쥐기 위한 진열 재정비에 나섰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작업이 속도를 내야 한다”며 “국민의 대표인 우리부터 솔선수범하자는 차원에서 세비를 일정부분 삭감하고 4년간 동결하자고 제안해 논의에 부쳐보겠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은 20대 국회 개원 전부터 ‘국회의원수당법 개정안’ 발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는 등 세비 삭감에 대한 의지를 보여왔다. 현재 국회의원의 연봉은 1억3000만원 수준으로 월평균 1100여만원의 세비를 받고 있다. 이 외 의정활동 경비, 보좌진 보수까지 합할 경우 의원 1명당 최소 6억원이상이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
정 원내대표는 “국회 개혁을 위한 눈에 띠는 성과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도 특권내려놓기에 공감하고 있다”며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국회를 만들기 위해 함께 나서야 한다”고 국회 개혁을 위한 협치를 강조하기도 했다. 정 원내대표는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친인척 채용과 국민의당 리베이트 사건을 언급하며 정치 발전을 위한 특위 구성도 서둘러야 한다고 밝했다. 그는 “국회에서 정치발전 특위가 구성되면 불체포 특권과 면책특권에 대한 재조정과 보좌관에 친익척 채용 금지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우리 정치권이 더욱 더 깨끗한 정치를 열망하는 국민들의 뜻에 부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정 원내대표는 “만약 국민의당 리베이트 사건이 국민 세금인 국고보조금을 횡령한 사건으로 판명날 경우 국민들은 크게 분노할 것”이라며 ‘철저한 진상규
김광림 새누리당 정책위의장 역시 세비삭감과 관련해 “세비를 감액하는 것은 향후 세비 재인상을 통해 사실상 그 효과를 상충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며 “차라리 세비를 동결하면 세비를 다시 올리는 꼼수를 쓰지 못하는만큼 동결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