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원내대표가 9일 첫 회동을 하고 20대 국회 원(院) 구성 논의에 착수할 예정인 가운데 여소야대 협치의 ‘상징’으로 국회 본회의장 좌석을 여야 구분없이 섞어보자는 제안에 대다수 당선자들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매일경제신문이 4·13 총선 당선자를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132명 중 92명(69.7%)이 여야·선수(選數)와 상관없이 좌석을 섞어 앉자는 데 동의했다.
본회의장 자리배치 변화에 부정적인 의사를 밝힌 당선자는 39명(29.5%)에 그쳤다.
지난 총선을 통해 한국 정치를 지배해온 양당 구도가 3당 구도로 전환됨에 따라 정치권에는 ‘협치’가 지상과제로 떠올랐다. 매일경제신문이 각 분야 전문가 30인으로 구성한 ‘MK 현인그룹’은 여야로 갈라 앉은 ‘전투대형식’ 본회의장 좌석 배치부터 흔들어보자고 제안한 바 있다.
여야로 철저히 구분하고, 다선 의원이 뒷줄에 앉는 본회의장 자리 배치가 여야의 대결적 구도를 오히려 조장하는 측면이 강하다는 지적이었다.
당선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본회의장에서 국회 상임위원회별로 앉자는 의견이 38명(41.3%)으로 가장 많았고, 무작위 추첨(31명) 자유좌석제(12명) 지역별(10명)등이 뒤를 이었다. 본회의장 좌석 배치 방식을 두고 초선 의원과 재선 이상 의원들의 의견이 엇갈린 점도 눈길을 끈다.
좌석 재배치에 찬성한 초선 의원(60명) 중 절반이 넘는 39명이 무작위 추첨과 자유좌석제를 선호한 반면 재선 이상은 상임위별로 앉기를 희망했다.
당 지도부와 다선 의원들이 뒷줄에 앉아 초선 의원들을 관리·감독하는 관행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초선들의 희망이 담겨 있는 셈이다.
또 MK현인그룹이 제안한 캘린더 국회, 회의 불참시 수당 제한, 피감기관으로부터 명절선물 받지 않기 등도 당선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매달 특정일 또는 특정 요일에 본회의와 상임위원회를 의무적으로 개최해 비쟁점 법안의 처리 속도를 높이자는 ‘캘린더 국회’ 제안에 당선자 114명(86.4%)이 찬성했다. 지금은 여야 간사간 협의를 통해 비정기적으로 회의 날짜가 정해지기 때문에 정쟁 상황에 처하면 법안 처리가 마냥 지연되고 있다.
국회 회의 불참시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수당 지급을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96명(72.7%)이 찬성했고, 피감기관으로부터 명절선물을 받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122명(92.4%)으로 압도적이었다.
한편 정진석 원내대표는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제안한 ‘미래 일자리 특별위원회’ 구성에 공감을 표시했다. 3당간 첫 합의 사례로 기록될지 주목된다. 정 원내대표는 8일 “국회가 현실정치
[신헌철 기자 / 안병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