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사퇴 "백의종군으로 최선 다하겠다"…'향후 행보는?'
↑ 문재인 사퇴/샤진=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가 27일 대표직을 사퇴하고 평당원 신분으로 돌아갑니다.
문 대표는 오후 중앙위원회 회의에서 최고위원들과 함께 지도부 총사퇴를 선언한 뒤 비상대책위원장을 겸하는 김종인 선거대책위원장에게 전권을 이양하고 총선정국에서 백의종군합니다. 지난해 2·8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된 후 353일만입니다.
이날 문 대표는 착잡함과 홀가분함이 교차하는 듯했습니다.
그는 마지막으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혁신과 새정치를 말하기는 쉬워도 실천하기는 참으로 고통스러웠다. 우리 당에 많은 상처가 생겼고, 갈등과 분열이 생겼다"며 "송구스러운 것은 정권교체를 갈망하는 국민에게 많은 걱정과 실망을 안겨드린 것이다.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라고 자세를 낮췄습니다.
이어 비대위 출범을 알리며 "혁신 실천과 훌륭한 분들을 영입하는 가운데 대표직을 내려놓게 돼 그나마 다행이다. 백의종군으로 최선을 다하겠다"며 성원과 지지를 요청했습니다.
문 대표는 "감회가 많다. 어렵고 힘든 시간이 많았다"면서 "하지만 변화와 혁신을 간절히 염원하는 국민과 당원의 준엄한 명령을 받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회고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당의 목표는 집권이다. 우리의 정치지형과 환경 속에서 우리 당이 이기기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달라지지 않으면 안된다"며 "무늬만 혁신이 아니라 사람과 제도 문화를 모두 바꾸는 진짜 혁신 없이는 총선승리도, 정권교체도 불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당초 문 대표는 4·13 총선까지 당을 진두지휘할 예정이었지만 당이 위기에 처하자 대표직을 내려놓으며 김종인 위원장을 구원투수로 긴급 투입했다. 전통적 지지기반인 호남에서 이른바 '반문(반문재인) 정서'가 커 "문 대표 얼굴만으로는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당내 여론을 수용한 것입니다.
문 대표는 작년 2월 취임한 뒤 한때 당 지지율이 30%를 넘을 정도로 승승장구했지만 작년 4·29 재보선 참패 이후 불거진 당 내홍에 발목이 잡혔다. 주류, 비주류 간 극심한 갈등 끝에 벌어진 안철수 의원의 탈당 등 야권 분열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그러나 외부인사 영입이 호평을 받고 김종인 위원장 체제 이후 당이 안정 국면에 접어드는 등 추락하던 당이 다시 상승세를 타는 것으로 안팎에서 평가되는 것은 그나마 문 대표의 심적 부담을 덜어주는 부분입니다.
이날 문 대표는 19번째 외부인사 영입케이스로 여성과학기술인인 문미옥(48·여) 전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기획정책실장의 입당을 성사시켰습니다.
향후 문 대표에 대한 평가는 무엇보다도 비주류의 강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문 대표가 계파공천·밀실공천 타파를 이유로 관철한 '공천혁신안'이 앞으로 얼마나 이행되고 총선에서 어떤 성과를 거둘지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 대표는 29일께 자택이 있는 경남 양산에 내려가 설 연휴까지 머물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는 주변에 반 농담조로 "이제 내 임무는 쉬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로 휴식의 시간을 갖고 싶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 대표 측은 "당분간 조용히 지낼 것"이라고 말했지만 4·13 총선 국면이 본격화하면 '문재인 역할론'이 대두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높습니다.
문 대표 스스로 총선 결과에 무한책임을 지겠다며 배수진을 쳤으므로 백의종군으로라도 총력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표는 자신의 총선 출마 문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출마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김 위원장도 "본인의 의사에 달려있는 것"이라며 문 대표의 선택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습니다.
문 대표 측은 "선거전이 본격화하면 여기저기서 유세 요청이 들어올 수 있다"며 "지역구에 출마해 발이 묶이는 것보다는 전국을 돌며 선거전을 지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문 대표의 판단"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부산·경남 선거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려면 서부산과 김해·양산
당 관계자는 "문 대표의 출마 문제는 당의 총선 승리 전략 차원에서 마지막까지 검토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