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 선거대책위원장이 15일 야권대통합 가능성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 더민주 당대표실에서 취임 기자회견을 열고 “야당이 통합되는 것이 간절한 희망이지만 그러한 것을 생각했다면 당이 분열됐겠냐”며 “일단 나간 사람을 가지고 통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제 책무는 지금까지의 더민주 행태를 새롭게 단장해 국민에게 제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총선 승리 전략으로 야권통합 등 정치공학적 접근보다 정책을 통한 당의 재정비라는 정공법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당 대표 권한이 일단 선대위원장에게 전체적으로 이양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시작됐다”며 “문 대표께서 사퇴하시리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나는 단독 위원장을 한다는 전제 하에서 수락했다”며 자신이 전권을 부여받은 단독 선대위원장임을 강조하는 등 리더십 확립에 신경을 썼다. 문재인 대표도 공동선대위원장 체제에 대해 한발 물러서는 분위기다. 문 대표는 전날 김 위원장 영입과 함께 호남 출신 인사가 포함된 공동 선대위원장 체제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이날은 “우리 당으로서는 김종인 박사를 선대위의 원톱으로 모신 것”이라며 “(공동 선대위원장은) 외부영입, 통합 등을 가정해 말씀드린건데 실제로 그렇게 될 경우 김 박사께서 판단할 문제”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공천 문제에 대해선 “공천룰에 따라 객관적으로 정해지는 것”이라면서도 “편파적으로 치우쳤다든가 하는 경우 약간 수정도 가능하다”고 여지를 남겼다. 하지만 문 대표는 혁신위원회가 만든 공천혁신안 관철 의지가 매우 강해 공천룰 수정 문제가 불거질 경우 상당한 마찰을 빚을 가능성도 있다. 김 위원장은 안철수 의원의 탈당에 대해선 내년 대선을 겨냥한 행보라고 평가하고, 호남권 탈당 의원들에 대해서도 명분이 떨어진다고 평가절하했다.
새누리당은 즉각 ‘김종인 때리기’에 나섰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주요 당직자 회의에서 “더민주의 새로운 리더십이 되시는 김종인 위원장은 쟁점법안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입장을 밝혀달라”고 말했다. 회의에 참석한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은 “김 위원장 입당 사태를 보고 정치적 비열함을 느꼈다”고 성토했다.
쟁점 법안 처리에 대해 김 위원장은 “현재 한국경제 상황을 전제로 할 때 법안이 제대로 안되면 한국경제가 위기에 봉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한국경제 현재 상황은 법안과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선대위원장 취임과 함께 더민주는 본격적인 총선 준비에 나섰지만 분위기는 여전히 어수선하다. 이날 ‘구민주계’ 핵심인 정대철 더민주 상임고문을 비롯한 전직 국회의원 40여명이 탈당했다.
정 상임고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대로는 총선승리, 정권교체의 희망이 없다”며 “여러 갈래로 찢긴 야당 세력들을 하나로 대통합하는 병풍 역할을 자임하겠다”고 밝혔다.
다음 주에는 박지원 전 원내대표를 필두로 김영록 이윤석 박혜자 이개호 의원 등 호남 의원 5명이 탈당할 전망이다. 정 상임고문 아들인 정호준 더민주 의원은 아직 탈당을 검토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 의원들도 당 잔류를 선언했다. 김성주 의원(전북 전주덕진)은 이날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정석환 기자 /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