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담화 기자회견서 '국회' 이야기에 한숨…'경제' 강조
![]() |
↑ 박근혜 대통령 담화 기자회견 |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발표한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의 키워드는 '경제'와 '국회'였습니다.
이날 청와대 춘추관 2층 기자회견장에서 오전 10시 30분부터 12시 9분까지 질문 응답 시간을 포함해 1시간 8분 동안 열린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에 박근혜대통령은 '붉은색 재킷'을 입고 등장해, '안보와 경제' 두 가지 주제에 상당한 내용을 할애한 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
북핵 4차 핵실험을 계기로 마련된 이번 대국민담화에서 박 대통령은 담화 앞부분에 강력한 대북제재 의지를 밝히고 중국의 역할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으면서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중요 법안 처리 촉구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국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한숨'을 내쉬며 법안 처리가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한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대국민담화 동안 '국민'이란 단어는 38차례 나왔고, '경제'란 단어는 34차례, '일자리'란 단어는 22차례, '개혁'이란 단어는 21차례 나왔습니다. 또 '북한'이란 단어는 19차례, 국회는 18차례 이야기했고, 노동개혁의 중요성을 말하면서 '노동'이란 단어는 16차례 나왔습니다.
박 대통령은 다소 밝은 표정으로 인사말을 한 것과는 달리, "새해 벽두부터 북한이 기습적인 4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지난 금요일 종료된 임시국회에서는 선거구도 획정짓지 못한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고 이야기할 때에는 목소리가 높아지며 강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노동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근로기준법 ▲고용보험법 ▲산재보험법 ▲기간제법 ▲파견법 개정안을 조목조목 설명한 뒤 한국노총에서 노사정 합의를 파기할 수 있다고 밝힌 데 대해 "국민과의 약속은 일방적으로 파기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과거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헌신을 설명판 뒤 "우리 선배들이 희생을 각오하며 보여준 애국심을 이제 우리가 조금이라도 나누고 서로 양보해서 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할 수 있도록 협조해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면서 고개 숙여 인사를 했습니다.
답답한 국회의 입법처리와 관련해서는 "경제활성화법과 노동개혁 4법을 1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해 주셔야 한다"며 "이번에도 통과시켜주지 않고 방치한다면 국회는 민의의 전당이 아닌 개인의 정치를 추구한다는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담화문 말미에 "국민 여러분께서 나서서 힘을 모아주신다면 반드시 개혁의 열매가 국민 여러분께 돌아가는 한해를 만들겠다"며 "다 함께 힘을 모아 변화와 희망의 대한민국을 만들어 나갑시다"라고 말할 때에는 감정에 북받친 듯 목소리가 떨리기도 했습니다.
이어진 질문·응답은 다소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습니다.
특히 기자들이 한 번에 여러개의 질문을 하자 "제가 머리가 좋아서 기억을 하지 머리 나쁘면 기억도 못해요"라면서 농담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국회 상황에 대한 질문이 나왔을 때는 주요 법안이 처리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답답한 심경을 여과 없이 드러냈습니다.
'직권상정'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지금 직권상정 밖에는 어떻게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 한숨을 내쉬고, "국회의장께서도 국민과 국가를 생각해서 판단을 내려주실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규제완화'에 대한 질문에서도 "규제 프리존 특별법을 만들어서"라고 이야기하다가 "어휴…"라고 깊은 한숨을 내쉬며 "지금 같은 국회에서 어느 세월에 되겠나. 만들기도 겁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위안부 협상 합의'에 대한 비판적인 질문이 나오자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의 선택"이었다며 협상 결과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연단 뒤편에는 이병기 비서실장,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박흥렬 경호실장과 수석 바서진,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 등이 배석했습니다. 또 내외신 기자 110여명은 연단과 약 2m 정도 떨어진 거리에서 책상 없
청와대는 이날 대국민담화 및 기자회견과 관련해 기자회견장의 전경을 국민에게 상세하게 전달하기 위해 박 대통령이 취임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는 처음으로 레일카메라를 설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