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언론은 권력이며 자제를 하지 않으면 흉기가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정당당하게 언론과 대화를 통해 최근의 대립 문제를 풀어나가자고 강조했습니다.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임동수 기자
[질문 1] 노무현 대통령은 언론과의 불편한 관계를 해소하기위해 보도 편집 국장과의 대화를 제안했죠 ?
노무현 대통령은 오늘 오후 63빌딩에서 열린 방송의 날 축하연에 참석해 껄끄러운 소리를 해도 괜찮다고 전제하면서 자신을 초청한 것 같다고 말을 꺼냈습니다.
노 대통령은 언론과의 대립 관계로 매우 힘들다고 말한뒤 언론 개혁이 참여정권의 역사적 책임이자 과제로 맡겨져 힘겨운 싸움을 회피 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노 대통령은 최근 신정아, 정윤재 전 비서관에 이어 처남인 권기문씨에 대한 언론의 의혹제기는 꼭 소설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 또한 자신과 언론과의 갈등 관계로부터 불거졌다고 의심하고 있다며 속내를 털어났습니다.
그러면서 언론 개혁이 우리 정권의 역사적 책임으로 지워져 회피 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정부로부터 언론은 자유롭게 됐다고 전제한 노 대통령은 다음 과제인 우월적 특권의 지위와 사주로부터 자유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고 참여정부와 이 문제로 숙명적 대결을 펼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지난번 언론들은 대화를 피했지만 이젠 정정당당하게 토론하고 문제를 풀어나가자게 제안했습니다.
정부관계자는 언론과의 대화는 보도 편집국장을 말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언론 권력은 절제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습니다.
노 대통령은 절제하지 않는 언론은 흉기가 될 수 있다고 말하고 민주주의의 미래를 위해 언론은 시민의 편에서 , 소비자의 편에 자리메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언론의 정통성은 누구로부터 심판받는것인가를 지적하면서 국민에게 봉사하는 언론의 역할에 대해 대화하려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노 대통령은 갈등과 대립 그리고 지역주의 해소는 역부족 때문에 해소하지 못한 채 임기를 마칠것 같다며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mbn뉴스 임동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