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전날 북한의 포격도발과 관련해 주요국 및 국제사회에 상황을 설명하는 한편,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외교부 당국자는 “정부는 북한의 포격도발과 관련해 주요국 및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사실 관계를 설명하고,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협조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북한이 22일 오후 5시까지 대북 심리전 방송을 중단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개시할 것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한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 위한 외교적 노력으로 보인다.
또 북한이 추가도발시 향후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응과정에서 국제사회의 협조를 이끌어 내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미국은 물론 북한에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는 중국과 러시아 측에도 주한 대사관과 현지에 나가 있는 우리 공관을 통해 북한의 도발실태와 우리 정부의 대응을 설명하고, 추가도발을 막기 위한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특히 미국과의 협조에 대해 “미국과는 확고한 연합방위태세를 바탕으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제하고 대응하는데 만전을 기하는 등 긴밀한 공조를 지속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우리 측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21일 오전 미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성 김 미 국무부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는 경계를 늦추지 않고(stay vigilant) 상황을 주의깊게 계속 지켜보며 긴밀한 협의와 대응을 이어 나가기로 했다고 정부 관계자는 전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