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발국면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미,일 3국의 북핵 6자회담 대표들이 다음 주 서울에서 모여 북한의 추가도발을 막기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나선다.
외교부는 22일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가 오는 26~27일 서울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번 3국 6자회담 대표들의 회동은 지난 1월 도쿄에서 만남 이후 약 4개월 만으로 정부는 6자회담 전 단계로 양자든 다자든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탐색적대화’를 통해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북한과도 조건 없이 만나 진정성을 확인하는 것이 탐색적 대화의 목적이라고 밝히고 있지만 북측은 이에 전혀 호응하지 않고 있다.
오히려 북한은 최근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하고 핵타격 수단이 소형화, 다종화 단계에 들어섰다고 주장하는 등 핵능력 고도화를 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번 한미일 3국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는 북한을 대화로 끌어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지하기 위한 3국의 공동노력에 논의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억지·압박·대화의 측면에서 북핵 문제의
앞서 존 케리 미 국무부장관도 18일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압력을 더 가중시켜 북한의 행동을 변화시켜야 할 것”이라면서 “북한과 대화를 위한 대화는 하지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김기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