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5일 청와대에서 제48차 중앙통합방위회의를 주재하며 "북한 인권문제, 미국 소니사 해킹 등으로 인해 한반도 안보는 더욱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이런 때일수록 우리 군은 한 치의 빈틈도 없이 확고한 군사대비 태세를 유지해 북의 도발을 억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정부는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국정의 주요 목표로 삼고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며 "하지만 북한은 핵과 경제의 병진노선을 포기하지 않고 있고, 핵무기와 장거리 탄도 미사일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올해 초 우리 정부가 조건없는 대화를 제의했지만 이런저런 요구사항들을 계속 북한은 전제조건으로 내세우면서 도발 위협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북한 붕괴 관련 발언, 다음달로 예정돼 있는 한미군사합동훈련 등 북한의 기습 도발이 우려되는 현 정세를 고려해 확고한 안보체계를 확립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IS 등 국제 안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IS의 무차별적인 테러와 살상에서 보듯이 지구촌의 갈등과 분쟁, 테러의 위협이 위험 수위를 넘어서고 있다”며 "사이버 공격과 전염병 자연재해 같은 새로운 형태의 비군사적 초국가적 위협도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 어느 때보다 민관군경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고, 또 평소에 국민의 안전을 해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야 할 것이고, 모든 안보관계관들은 국내외의 정세 변화에 유념해서 우리의 안보와 치안 시스템을 철저하게 점검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회의를 주재한 것에 대해 "현재의 엄중한 안보상황을 감안해 국민들의 높은 안보의식을 바탕으로 민·관·군·경이 하나된 총력안보태세를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상황인식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종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