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이학영 의원은 15일 "대부업 광고가 쉽고 빠른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구 등으로 대출을 유도하고 있다"며 대부업 광고에 대한 실질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대부업 이용자는 250만명이고 시장규모는 8조에 달했다.
하루 평균 402회의 대부업 광고가 전파를 타고 있어 케이블TV 시청이 가능한 모든 국민이 광고에 노출, 대부업 이용자들의 절반이 TV광고를 보고 대출한 것으로 파악됐다.
성인 500명이 참여한 '금융광고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가 가장 많이 접하는 금융광고는 대출광고(45.6%)로, 광고를 통해실제 상담으로 이어진 경우도 31.5%에 달했다.
또 금융광고 중 대부업이 가장 큰 문제라고 답한 이들은 72.1%로 조사됐다.
요즘 대부업 광고를 보면 "무만 아니면 누구나" "1분이면 OK" "전화 한 통화로 단박대출" 등과 같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빌려 쓸 수 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누군가에겐 꼭 필요한 서비스"와 같은 친서민적 문구를 내세워 대출을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2011년 '대부업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경고 문구를 광고에 삽입해 위험성을 알리도록 의무화했다. 대부업체들은 규정에서 벗어나지
이학영 의원은 "대부업 광고의 문구 규제와 광고노출 횟수, 빈도의 적정화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며 금융위에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매경닷컴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