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3일 청와대에서 통일준비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주재하며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등 '평화통일 액션플랜'의 조속한 설계와 추진을 주문했다.
8·15 경축사에서 새로운 한반도를 만들고 평화통일의 길을 닦기 위한 해법으로 남북간에 당장 실천 가능한 환경·민생·문화협력의'통로'를 만들자고 제안한 이래 두달여만에 구체적 방안마련을 독려하면서 북한 측의 동참을 끌어내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우선 박 대통령은 환경 분야 통로와 관련, 자신이 지난달 말 미국 뉴욕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제시한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을 언급하며 "이제는 그간의 연구를 바탕으로 남북한이 유엔 등 국제사회와 함께 DMZ 세계생태평화공원의 첫 삽을 뜰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과 실천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공원 후보지 선정 본격 착수 ▲친환경 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설계 작업 ▲주변지역 도로 정비 등의 추진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2012년 대선때 공약으로 내놓았던 'DMZ 세계평화공원'에 '생태'라는 표현을 넣은데 대해 "DMZ가 현재 온대지방에서 유일한 생태계의 보고로 환경분야와 같이 이해관계의 충돌이 적은 분야부터 협력의 습관을 만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민생 협력 사업과 관련해서는 "북한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원과 협력은 인도적 차원은 물론, 인권 차원에서도 확대돼야 한다"며 "기존의 의약품 지원에서 한발짝 더 나아가서 의료장비, 의료시설 등 의료지원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또 농촌개발과 관련해서는 ▲마을 단위의 식량 문제 해결을 위한 비료 지원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부엌 개조 ▲마을 도로 정비 등을 주문했다.
이는 '새마을 운동'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작은통일론'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새마을운동을 북한 농촌에 전파하는 구상을 염두에 둔 언급으로 풀이된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