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사고의 피해를 키운 것은 선원들의 미흡한 안전 의식과 선박의 안전관리 부족이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해양수산부의 전신인 국토해양부가 4년 전 이 같은 문제점을 지적했지만, 대처를 취하지 않아 사고를 못 막았다는 비난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혜 기자입니다.
【 기자 】
2007년 태안 앞바다에서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
이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대형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습니다.
2010년 국토해양부는 선박 안전관리 문제가 해양사고의 원인이라고 지적한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보고서는 해양 사고의 대부분은 과실 때문에 일어나고, 사고를 막으려면 안전관리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촉박한 운항 일정으로 인한 항해 준비 부족, 선원들의 고령화와 자질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됐습니다.
이런 지적사항은 이번 세월호 침몰 사고에서도 어김없이 반복됐습니다.
실제로 세월호에는 탑승자 전원이 탈출할 수 있는 구명정이 44개나 실려 있었지만, 펼쳐진 것은 단 2대뿐입니다.
또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은 지난해 선원 안전교육 연수비로 지출한 금액이 54만 원으로, 직원이 130여 명임을 감안할 때 1인당 고작 4천100원에 불과했습니다.
선박 안전 관리의 필요성을 이미 4년 전부터 알고 있었던 정부.
당시 대책 마련만 제대로 했다면 이번 세월호 사고 같은 참사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이미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