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조건 없이 수용했지만 안심하기 이르다는 것이 정부는 물론 북한 전문가들의 공통된 입장이다.
가장 큰 이유는 북한이 이번 이산가족 상봉을 한·미 군사 훈련과 연관 지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때문이다.
북한은 24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명의의 통지문에서 아무 조건 없이 상봉행사를 응하겠다고 했다.
또 날짜 역시 남측이 편리한대로 잡으라고 말했다.
다만 '설이 지나고 날씨가 좀 풀리면'이라는 전제조건을 달았다.
정부는 이 대목에 주목하고 있다.
날씨가 풀린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입춘 더 나아가 3월 정도를 예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북한이 우리 정부에 즉각 증단을 요구한 '한·미 군사훈련'까지 가게된다. 이는 곧 이산가족 상봉 연기의 핑계가 될 수 있다.
실제 북한은 같은 날 김정은의 '특명'에 따라 만들었다는 국방위 명의 '공개서한'에서 "총포탄이 오가는 속에서 이산갖고 상봉 행사를 열 수는 없다"고 했다.
여기에 25일 새벅 뉴욕 유엔본부 기자회견에서 신선호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키리졸브·독수리 연습 중단 요구를 거듭 촉구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키리졸브·독수리 연습은 매년 실시해온 만큼 이산가족 상봉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결국 북한의 '설이 지나가 날씨가 좀 풀리면'을 충족하면서 시비를 피할 수 있는 시기는 2월 중순 밖에 없다는 얘기다.
특히 박 대통령 취임 1주년이 2월 25일인 것
한 북한 전문가는 "과연 우리 정부가 2월 중순께 이산가족 상봉 날짜를 제시하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의문"이라며 "북한의 수용 여부가 진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