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철도 파업에 대응하는 각 부처 장관의 안이한 태도에 박 대통령이 꽤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고 합니다.
박 대통령의 개각 결심을 앞당기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기자 】
모두 4천여 명의 경찰이 투입된 철도노조 지도부 체포영장 집행.
노정 갈등만 부추기고 실패로 끝났습니다.
국회에 출석한 주무 장관은 파업 방지에 대한 노력 부족을 스스로 드러내기도 합니다.
▶ 인터뷰 : 방하남 / 고용노동부 장관 (지난 23일)
- "노조 집행부를 만나서 설득하고 그런 기회는 갖지 못했습니다. 아마 했어도 듣지 않았을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이렇게 철도 파업 대응에 각 부처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자 박 대통령은 답답함을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늘 정홍원 국무총리의 철도 현장 방문과 현오석 경제부총리의 담화문 발표 그리고 정부 차원의 철도 파업 TF 회의가 한꺼번에 열린 것도 이런 박 대통령의 지적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이번 철도 파업에 대한 정부 부처의 부실한 대응이 결국 박 대통령의 개각 결심을 앞당기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공기업 개혁을 비롯해 비정상의 정상화 등 새해 정면 돌파가 필요한 과제가 한둘이 아니어서 집권 2년차 내각의 면모를 일신할 필요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청와대는 이미 각 부처 업무 평가를 마치고, 김기춘 비서실장도 후보자 물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스탠딩 : 김성철 / 기자
- "여당 내에서도 이번 철도 파업과 관련된 국토부와 노동부 등 주무 부처 장관은 물론 경제팀에 대한 교체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MBN뉴스 김성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