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성난 민심으로 내심 매우 곤혹스러워 하고 있는데, 자세한 소식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봅니다.
이상범 기자!!
<앵커1>
퇴진은 없다는 게 청와대 입장이지만, 민심을 고려하면 그러한 기조가 오래 못갈거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앵커>
네, 청와대 내부적으론 이번 파문과 관련해 문책할 사유는 없다는 판단입니다.
윤태영 대변인은 내부에서 인책 문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오히려 이번 파문을 부른 이백만 홍보수석의 기고는 취지가 잘못 전달됐음을 강조했는데요.
정부가 분양가를 인하하고 공급 물량을 확대하는 정책을 곧 내놓을 예정인 만큼 정부 정책을 믿어달라는 게 핵심이라고 윤 대변인은 전했습니다.
하지만 여권 내부에서 조차 부동산 파문의 주역인 추병직 건교부 장관, 이백만 홍보수석, 김수현 사회정책 비서관의 퇴진 압박이 거세지자 상당히 곤혹스러워 하는 분위기입니다.
참여정부가 사활을 걸고 추진했던 부동산 정책이 이번 파문의 고비를 넘기지 못하면 완전 물거품으로 끝날 것을 우려한 나머지 청와대 일각에서는 문책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힘을 얻어 가고 있습니다.
<앵커2>
한편 이백만 청와대 홍보수석의 강남 아파트 거액 담보대출 과정에 대한 의혹도 커지고 있다면서요.
<기자2>
이백만 홍보수석은 청와대 브리핑 기고문에서 지금 집을 사면 낭패를 본다고 밝혀 이번 논란을 자초해 거센 퇴진 압박을 받고 있는데요.
이 수석은 04년 부인 명의로 10억 8천만원에 분양받은 강남구 역삼동 54평형 I아파트 담보 대출과정에서 의혹을 사고 있습니다.
현재 최고 25억원에 거래되는 이 아파를 담보로 이 수석은 은행에서 8억원을 대출을 받았는데,
투기지역 주택담보인정비율이 40%인 점을 놓고 보면 8억 대출은 편법이 없고선 불가능하다는 게 의혹의 핵심입니다.
특히 등기도 이뤄지지 않는 아파트를 담보로 80%까지 거액의 대출을 받은 데 대해선 건설회사 관계자들조차 믿기 어렵다는 반응입니다.
이에 따라 이백만 수석이 결자해지 차원에서 강남집 의혹에 대해 모든 것을 해명하고 깨끗하게 물러나야 한다는 지적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mbn뉴스 이상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