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기 폭파사건 등을 조사해온 국정원 과거사 진실위원회가 활동 기간을 1년 더 늘려, 이제는 개별 사건보다 분야별로 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활동 연장이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상범 기자입니다.
국정원이 관련돼 인권 침해나 불법행위가 있었으나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2004년 11월 발족한 국정원 과거사진실규명위원회.
올 2월 KAL 858기 폭파사건을 시작으로 민청학련·인혁당, 동백림, 김형욱 실종 사건의 조사 결과를 발표해 진실 규명에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하지만 국정원이 2년인 진실위의 활동기간을 1년 더 늘리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나라당 등은 진실위의 활동을 더 늘리는 것은 정치적으로 악용될 소지가 높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특히 한나라당은 새 국정원장에 노무현 대통령과 코드를 맞춘 김만복 제1차장이 내정된 시점이라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여기에 대해 국정원은 아직 마무리하지 못한 것들이 많이 남아
인터뷰 : 이상범/ 기자
-"앞으로는 개별 사건보다 노동·간첩 등 분야별 조사에 힘을 쓰겠다는 진실위가 중심을 확실히 잡고 조사를 계속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mbn뉴스 이상범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