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장관 내정자들 가운데는 공직을 떠났다가 돌아온 사람들이 많습니다.
공직을 떠난 뒤에 재산이 크게 늘었는데 전직 고위 관료라는 이유로 많은 돈을 받았다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이권열 기자입니다.
【 기자 】
검찰 출신인 황교안 법무장관 내정자가 2011년 검찰을 떠나기 전에 신고한 재산은 13억 9천만 원.
법무장관으로 돌아온 황 내정자의 재산은 26억 원으로 불어났습니다.
법무법인에서 1년 5개월 동안 일하며 16억 원을 받았습니다.
역시 검사 출신인 정홍원 국무총리 후보자도 법무법인에서 2년 동안 일하며 6억 원이 넘는 돈을 받았습니다.
공직을 떠난 뒤 많은 돈을 받는 관행은 법조계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김병관 국방장관 내정자는 군 전역 후 무기중개업체 자문이사로 일하면서 2년 동안 2억 1천만 원을 받았습니다.
공직에서 쌓은 인맥을 관련 업체에서 이용해 높은 보수를 받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의화 / 새누리당 의원
- "전관예우를 받아서 천문학적인 액수로 월급을 받는 사실을 저도 이번에 알고 깜짝 놀랐는데요…."
내정자들은 전관예우가 아닌 정당한 보수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전직 고위 관료들이 누리는 특혜를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권열입니다.<2kwo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