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탕평과 책임총리의 인사원칙에 걸맞는 박근혜 정부의 첫 총리는 누가 맡게 될까요?
박근혜 당선인이 총리 인선 작업에 들어가면서 차기 정부 첫 총리에 대한 하마평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윤범기 기자입니다.
【 기자 】
이번 대선에서 최고 가치로 내세운 '국민 대통합' 차원에선지역 안배와 야권 출신 인사의 기용이 유력해보입니다.
이런 기준으로 볼때 호남 지역에선 3∼4명의 이름이 떠오릅니다.
진념 전 경제부총리와 강봉균 전 재경부 장관, 인수위의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과 박준영 전남지사 등이 이런 상징성과 경륜을 갖춘 인물로 평가됩니다.
대선 승리의 캐스팅 보트였던 충청권도 배려 대상입니다.
지난 대선에서 합류한 이인제 의원과 7선의 '미스터 쓴소리' 조순형 전 의원, 박 당선인과 친분이 두터운 이완구 전 충남지사도 충청권 총리후보로 거론됩니다.
국민대통합 차원으로 수도권의 통합형 인사도 가능합니다.
이런 기준에선 여야가 함께 추천했던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이나 손학규 민주당 상임고문의 이름도 흘러나옵니다.
하지만 박근혜 후보의 인사 스타일상 지역안배보다 경제민주화와 민생형 총리를 발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김종인 전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경제민주화 전도사란 점에서 맞춤형 총리후보로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진보성향 경제학자지만 박정희 정부의 경제정책을 호의적으로 평가한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도 깜짝 카드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 스탠딩 : 윤범기 / 기자
- "국회 동의절차 등을 고려할 때 늦어도 다음 달 초까지는 박근혜 정부의 초대 총리 인선이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
MBN뉴스 윤범기입니다. [ bkman96@mk.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