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전 대선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전 후보의 '단일화'는 아직도 뒷맛이 개운하지 않습니다.
대선 패배 반성도 내놓기 전에 양측이 네 탓 공방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습니다.
이성식 기자입니다.
【 기자 】
도화선이 된 건 안철수 전 후보 측 인사들의 잇단 발언들입니다.
안 전 후보로 야권이 단일화됐다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는 겁니다.
▶ 인터뷰 : 김민전 / 경희대 교수(라디오 인터뷰)
- "안 후보가 사퇴하는 날조차도 박 후보에게는 양자대결에서 앞서고 있었거든요. 이런 것들을 생각해보면 더 경쟁력 있었다…."
반면 민주당 김기식 의원은 "안 전 후보 측의 그러한 인식이 단일화 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되지 못한 원인 중 하나"라고 비판했습니다.
대선 패배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늦어지는 가운데 양측이 뒤늦은 '안철수 공방'을 펼치는 상황입니다.
선거 당일 미국으로 출국한 안철수 전 후보는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안 전 후보 측의 말을 종합해보면 오는 4월 재보선에 직접 모습을 드러낼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다만, 장하성 고려대 교수와 김성식·박선숙 전 의원 등이 출마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런 가운데 박영숙 안철수 재단 이사장의 병환이 악화하면서 안 전 후보가 일시 귀국할 수도 있다는 예상이 일부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이성식입니다. [ mods@mbn.co.kr ]
영상편집 : 국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