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일본의 추가 조치에 대비한 대응책 마련에도 착수했습니다.
이어서 이예진 기자입니다.
【 기자 】
일본 정부가 각료회의에서 결정한 내용을 실행에 옮겼습니다.
일본 대사관 참사관이 독도 제소를 담은 외교서한을 우리 측에 전달한 겁니다.
우리 정부는 일본 측 결정에 일고의 가치도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놨습니다.
▶ 인터뷰 : 조태영 / 외교통상부 대변인
- "독도를 국제사법재판소에 회부하자는 일측의 제안은 일고의 가치도 없습니다."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국회에 출석해 독도를 분쟁화하려는 일본의 의도를 경계했습니다.
▶ 인터뷰 : 이자스민 / 새누리당 의원
- "일본도 알고는 있을 텐데 왜 ICJ 제소를 이야기하는 것입니까?"
▶ 인터뷰 : 김성환 / 외교통상부 장관
- "일본이 지금 원하는 것은 독도를 분쟁 지역화 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이제 ICJ로 가져감으로써 그런 효과를 노린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전문가들도 독도 문제의 국제사법재판소행은 어렵다는 견해입니다.
▶ 인터뷰 : 윤덕민 /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 "한국이 일본의 제소에도 불구하고 중재에 응하지 않을 경우에는 국제사법재판소로 가는 경우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실효성이 없는 조치라고 볼 수 있을 거고요."
▶ 스탠딩 : 이예진 / 기자
- "하지만 일본 정부의 보복책이 구체화될 경우 우리 정부도 필요에 따라 조치한다는 입장이어서 한일 간의 외교갈등은 장기화될 전망입니다. MBN뉴스 이예진입니다."
[ opennews@mbn.co.kr ]
영상취재:정재성, 전범수 기자
영상편집:하재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