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이 이제 엿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새누리당은 영남-강원-경기지역을 도는 강행군을 펼치고 있고, 민주통합당은 부산과 경남에서 표심잡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명준 기자
(네, 국회입니다.)
【 질문1 】
먼저 새누리당 얘기를 해 보죠. 박근혜 위원장, 오늘도 광폭행보를 이어 가죠?
【 기자 】
새누리당 박근혜 중앙선대위원장은 오늘 울산을 시작으로 경북 포항과 대구·칠곡을 거쳐 강원 원주, 경기 고양까지 이어지는 유세전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박근혜 위원장이 4·11 총선 승리를 위해 대구·경북 지원에 나선 것은 지난달 23일 공천자 발대식에 이어 13일 만인데요.
박 위원장의 이번 방문은 지역기반이 약한 일부 정치신인들이 무소속 후보에게 밀리는 양상을 보이는 것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입니다.
박 위원장은 울산 지원유세에서 "새누리당은 위험한 거대 야당의 폭주를 막아내고 민생을 지킬 유일한 정당"이라며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선대위원장은 전략적 요충지이자 이번 총선의 최대 격전지인 경남을 찾아 집중 지원유세를 벌이고 있습니다.
한 위원장은 경남 통영을 시작으로 부산 사하갑까지 13곳을 도는 강행군을 펼치며 민주당 후보와 야권 단일후보 지지를 호소할 예정입니다.
한 위원장은 마산역 유세에서 "마산은 부마항쟁의 민주화운동 성지였다"면서 "누구를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다시 서민의 경제가 살아날수도 있고 특권층의 시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부산 북강서을 유세에서는 사상에 출마한 문재인 후보까지 가세해 문성근 후보에게 힘을 실어줄 예정입니다.
【 질문2 】
이번 총선의 핵심 이슈로 떠오른 '불법사찰' 얘기를 해 보죠. 새누리당에서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죠?
【 기자 】
새누리당 이상돈 비상대책위원은 오늘 한 라디오에 출연해 '불법사찰' 파문과 관련해 "현 정권에서도 박근혜 위원장을 쭉 관찰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 비대위원은 "박 위원장은 정치를 시작한 다음부터 집권세력에 속한 적은 거의 없었다"며 "차기 대권주자로서 처음부터 거론됐기 때문에 많은 견제와 감시가 있었다고 봐야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비대위원의 발언은 박근혜 위원장이 '불법사찰'의 피해자임을 거듭 강조하는 동시에 민주당 등 야당이 주장하는 '사찰 공동책임론'을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민주통합당은 '불법사찰' 문제에 대해 총선 후 청문회 실시를 거듭 주장하며 '정권심판론'을 부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민주당 내부에서는 '불법사찰' 문제가 보수층의 결집을 가속화한다는 자체 분석 아래 일방적인 몰아붙이기는 자제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MB-새누리 심판 국민위원회' 박영선 위원장은 오후에 기자회견을 갖는데요, 불법사찰과 관련해 추가 증거자료를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 질문3 】
어제 기재부가 발표한 여야 복지 공약 분석이 선거법 위반이라는 결정이 나왔죠?
【 기자 】
중앙선관위는 오늘 긴급 전체위원회를 열고 기재부의 여야 복지공약 소요예산 발표가 선거법 위반이라고 결정했습니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어제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이 내놓은 복지공약을 모두 집행하려면 기존 복지 예산 92조 6000억 원 외에도 5년간 최소 268조 원이 더 필요하다"고 발표했는데요,
선관위는 이번 발표가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기재부가 '공무원의 선거중립의무'를 위반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공무원의 선거중립의무'를 위반한 경우에도 별다른 벌칙 조항은 없어, 사실상 선관위의 서면 경고로 그치게 됩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김명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