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태 국회의장의 불구속 기소에 대해 정치권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이상민 기자.
【 질문 1】
민주통합당은 상당히 강한 톤으로 검찰 수사 결과를 비난했다고요?
【 기자 】
네, 신경민 대변인이 논평을 발표했는데요.
민주당은 진실을 규명하기보다는 권력 비리를 덮으려고만 했던 수사였다면서,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였다고 폄하했습니다.
또 국민의 의혹은 가시지 않았고, 진실이 묻힐 수도 없다면서 박희태 국회의장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국민 앞에 진실을 고백하라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새누리당은 즉각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은 채 고민하는 모습입니다.
황영철 대변인은 아직 당의 입장이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내부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새누리당 출신의 국회의장이 현직으로는 처음으로 검찰에 기소됐고, 이에 따라 과거 전당대회 당시 비리가 사실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쉽게 태도를 결정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2】
선거구 획정 협상이 난항을 거듭하자, 중앙선관위가 아예 국회의원을 늘리자고 했다고요?
【 기자 】
네, 이종우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은 여야 원내대표단을 방문하고 "선거구 획정에 대해 여야의 합의가 어렵다면 특례 규정을 둬서 이번에만 300명으로 국회의원을 늘리자"고 말했습니다.
현재 공직선거법에는 국회의원 수를 299명으로 규정하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 한시적 특례 규정을 둬서 1명을 늘리자는 것입니다.
선관위가 이런 고육지책을 내놓은 것은 여야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엇갈리면서 선거구 획정 문제가 제자리걸음만 거듭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여야는 경기도 파주와 강원도 원주, 세종시에서 모두 3석을 늘리기로 합의했지만, 영남과 호남 가운데 어디에서 3석을 줄일지를 놓고 팽팽한 대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주성영 새누리당 정개특위 간사는 "좋은 생각"이라면서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국회의원 증원은 정치권의 '밥그릇 챙기기'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라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
여야의 공천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죠?
【 기자 】
네, 여야 모두 공천 신청자 면접에 한창인데요.
새누리당은 오늘 대구·경북과 호남, 제주 지역 공천자에 대해 도덕성과 경쟁력, 정책 입안 능력 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모두 207명의 공천 신청자 가운데 현역 의원을 제외한 183명이 면접에 참가했습니다.
새누리당은 면접심사를 마무리하는 대로 권역별로 2차례 여론조사를 하고 공천에서 배제할 현역의원 하위 25%를 가려낼 계획입니다.
일주일째 공천 신청자 면접을 하고 있는 민주통합당은 오늘(21일) 수도권 예비후보자를 상대로 옥석 가리기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이상민입니다. [ mini4173@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