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은 김정일 위원장 사후 한반도 변화 가능성을 전망하는 기획 시리즈를 마련했습니다.
먼저 후계자 김정은이 어떻게 권력을 장악해 나갈지 짚어봤습니다.
오상연 기자입니다.
【 기자 】
북한은 지난달 30일 김정은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을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추대했습니다.
김정일 위원장 사후 첫 공식추대로 추도대회가 끝난 지 하루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진 권력승계입니다.
북한의 최고지도자가 승계해야 하는 직위는 최고사령관 이외에 국방위원장과 당 총비서, 당 중앙군사위원장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헌법과 당규약을 개정해 국방위원장이 최고사령관을 겸임하고, 당 총비서가 당 중앙군사위원장을 겸하도록 했습니다.
최고사령관에 이어 당 총비서 자리에 오르면 김정은은 군권과 당권 모두를 장악하게 됩니다.
이처럼 김정은 절대권력 안정화와 권력 공백을 막기 위한 초고속 승계가 이어지고 있지만 '김정은 체제'로의 이행이 순탄할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김정일 장례식 당시 영구차를 호위한 핵심세력들인데요.
권력의 핵심들이 왼편으로는 군부 인사들, 오른편으로는 당 인사들로 나뉘어 포진돼 있습니다.
후계자 교육기간이 짧고 국정 경험이 없는 김정은은 이들 후원세력을 중심으로 집단지도체제의 힘을 빌릴 가능성이 큽니다.
표면적으로는 김정은 1인 체제로 보이더라도 실세 몇몇이 집단지도체제의 지분을 나눠갖는 구도입니다.
앞으로 김정은 체제가 어떻게 전개될지 알아봤습니다.
김정은은 장성택과 리영호 등을 중심으로 한 집단지도체제로 김정일의 유지를 받드는 이른바 '유훈통치'를 당분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인터뷰 : 유호열 /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
- "1년간 유훈통치 기간을 갖고 본격적인 김정은 통치체제로 넘어가지 않겠나…"
유훈통치 기간 집중할 분야는 정치적 안정을 위한 민생안정 정책, 경제정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인터뷰 : 이우영 / 북한대학교 대학원 교수
- "인민생활 부분에서 실적이 중요합니다. 그런 것들이 결합해야 안정화되면서…"
김정은은 추모기간을 명목으로 사회적 통제를 강화하거나 위기의식을 높이는 방식으로 주민들을 통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강한 지도자'의 면모를 보여주기 위한 공세적인 대남 정책을 펼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인터뷰 : 백승주 / 국방연구원 안보전략 연구센터장
- "저강도 중강도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고요. 군사강국의 위용을 보이려고 준비된 핵실험도 구사해 군사 지도자의 모습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젊고 짧은 경륜의 지도자로 1인 통치자 체제를 재개막하게 된 북한의 딜레마는 핵심 정치세력 간의 권력갈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60년 가까이 이해관계가 맞물려 유지된 기득권층이 당장 적극적인 권력투쟁 등의 움직임을 보이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전망입니다.
MBN뉴스 오상연입니다. [오상연/art5@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