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오늘 남과 북의 6자회담 수석대표급의 비공개 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어 내일은 외교장관 간의 회담도 가능할 거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강태화 기자.
【 기자 】
네, 인도네시아 발리입니다.
【 질문 】
오늘 남북 6자회담 수석대표 간의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상태라죠?
【 기자 】
그렇습니다.
아직까지 성사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이곳에서는 이르면 오늘 오후 남북 고위당국자의 비공식 회동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입니다.
정부 당국자는 "남과 북이 실무급 조율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회동이 결정되면 이를 공식 발표하겠다"고 전했습니다.
현재로서는 오늘 오후에는 6자회담 수석대표 간의, 그리고 내일은 남북 외교장관과의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양측이 회동에 합의할 경우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 본부장과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 간의 회담이 유력합니다.
리 부상은 어젯밤 박의춘 북한 외무상에 앞서 인도네시아에 도착했는데요.
현재 북한의 강석주 부총리와 김계관 외무상 제1부상에 이러 6자회담 수석대표직을 맡을 것으로 관측되는 인물입니다.
두 사람의 회동은, 이른바 '3단계 6자회담 재개방안'의 첫 단계인 남북 비핵화 회담이 성사되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만약 외교장관 회담이 이뤄진다면 이번 정권 들어 처음이고, 수석대표 간 회담 역시 지난 2008년 이후 3년 만의 일이 됩니다.
내일 외교장관 간의 회담까지 이뤄질 경우, 교착상태에 빠진 6자회담 재개 흐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어젯밤 박의춘 외무상이 이끄는 북한 대표단은 오늘 아침 인도네시아와 양자회담을 한 데 이어, 중국과 만나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미 우리 측과 만나, 비핵화 남북대화를 시작으로 한 6자회담 재개 방안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입니다.
북중 양자회담에서도 이같은 대화재개 방안과 남북 외교장관 회담에 앞선 사실상의 최종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관측됩니다.
다만, 당초 비슷한 시간에 예정돼 있던 한미 외교장관 회담은 일단 취소가 됐습니다.
미국 측의 일정 때문이라는 설명인데, 현재로서는 내일로 예정된 한·미·일 비공개 오찬 직전에 우리 측과 미국이 먼저 만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MBN뉴스 강태화입니다.